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EU산 수입품에 50% 관세" 경고...미국, 무역협상 지연에 강한 불만

"해마다 2500억 달러 무역적자"...트럼프, 유럽에 고율관세 카드 꺼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3월 12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이클 마틴 아일랜드 총리를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3월 12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이클 마틴 아일랜드 총리를 만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현지시각) 미국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오는 61일부터 유럽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매기겠다"고 썼다고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는 "EU는 미국을 무역으로 이용하려고 만든 집단"이라며 "미국은 해마다 2500억 달러(342조 원)의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 기업에 부가가치세, 각종 규제, 과도한 벌금, 비금전적 장벽을 적용해 미국 기업이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EU가 미국의 요구에 실질적인 제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협상에 진전이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 "EU는 중국산 제품 관세 동참 꺼려"...영국과는 별도 합의


미국은 최근 EU에 중국산 산업제품에 관세를 매기자고 요구했다. 미국은 중국의 국가보조금과 값싼 수출이 불공정 경쟁을 일으킨다고 보고, 주요 무역 상대국과 힘을 합치려 한다. 실제로 미국은 영국과 협상에서 영국이 중국산 철강에 관세를 매기기로 합의했고, 이로써 미국과 영국은 무역협정을 맺었다.

하지만 EU27개 나라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미국의 요구에 빠르게 응하지 못하고 있다. EU 집행위원회는 무역정책을 맡지만, 회원국들과 조율 과정이 길어 정책 결정이 늦어진다. EU는 최근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10% 기본관세에 더해 최대 35.3%의 추가 관세를 매기기로 했으나, 미국이 원하는 전면적 동참에는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집행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경고 뒤 "EU는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유럽의 이익도 지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독일과 네덜란드 등 주요 회원국도 집행위원회의 신중한 대응에 힘을 보탰다.

미국, "EU가 협상 지연·미국 기업 규제·중국 문제에 소극적" 비판...유럽 주가 하락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경제팀은 협상 지연뿐 아니라 EU의 디지털 서비스세, 자동차 규제, 반독점 벌금 등 미국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가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 빅테크 기업에 부과하는 각종 벌금은 사실상 미국 기업에 대한 세금"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경고가 나온 뒤 유럽 주요 주가는 떨어졌다. 스톡스600 지수는 1% 넘게, 프랑스 CAC40 지수는 1.35%, 독일 DAX 지수는 1.54% 내렸다. 금융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협상 압박용 카드" 해석...EU "협상은 위협 아닌 존중이 바탕"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 경고가 협상에서 미국이 우위를 점하려는 압박 카드라는 해석이 많다. 미국 경제팀도 이번 관세 위협이 협상 전략임을 시사했다. 경제분석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는 "50% 관세가 실제로 시행되면 독일 국내총생산은 앞으로 3년 동안 1.7%, 아일랜드는 4%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EU"무역은 위협이 아니라 서로 존중하는 바탕에서 이뤄져야 한다", 미국의 일방적인 압박에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EU는 이미 210억 유로(326500억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승인했고, 협상이 결렬되면 최대 950억 유로(1477000억 원)까지 추가 관세도 검토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