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블룸버그 "미·일 무역협상, 동맹국 대상 관세 바로미터 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DC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일본이 이번 주 미국과 본격적인 무역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양국의 관세안 협정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동맹국들의 관세 측정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15일(현지시각) 미국과 무역 협상에 들어가는 일본이 트럼프 행정부 관세안 협상의 중요한 표본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동맹국들이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안 협상 전략에 골몰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먼저 협상에 들어가는 일본의 사례가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일본과 같은 동맹국들과 협력해 중국에 경제적 압박을 가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모색할 뜻을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주 “동맹국들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들은 군사적으로는 좋은 동맹국이지만, 경제적으로는 완벽한 동맹국은 아니다. 집단적으로 중국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이런 상황에서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국난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표현하며 미국과의 관세안 협상에 사활을 건 상황이라 어떤 결과가 나올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일본이 미국 뿐만 아니라 중국과도 긴밀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대 중국 경제 압박에 어디까지 보조를 맞출지는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안보 측면에서 중국의 위협에 맞서는 데 있어 일본이 미국에게 훨씬 더 협력적인 동맹국이기 때문에 속단은 할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블룸버그는 ”주일미군 기지에는 약 5만3000명의 군인이 주둔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본토를 제외한 최대 규모 주둔 부대“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일 안보조약이 일본에 너무 유리하다고 비판하고 있지만, 안보 당국자들은 일본과의 관계가 계속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안보 동맹국인 일본을 잃을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미국은 도쿄 근교에 새로운 군 사령부를 설치하는 계획도 추진 중인데, 이번 무역협상이 합의에 이르지 못할경우 미·일 안보체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라고 전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