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베선트 美 재무, 내주 한국과 관세 협상 착수...신속 타결 모색

한국·영국·호주·인도·일본 5개국을 최우선 협상 대상국으로 선정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내주에 한국과 관세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내주에 한국과 관세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한국과 다음 주무역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현지 )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한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16일)에는 일본, 다음 주에는 한국과의 협상이 있으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미국 정부가 한국을 비롯해 영국, 호주, 인도, 일본과의 협상을 우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베선트 장관이 선정한 최우선 협상 목표 대상국에 5개국이 포함됐고, 그가 이들 국가의 당국자들을 접촉해 왔다고 WSJ가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면서 "중국과 언젠가는 큰 거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우리의 최대 경제 경쟁국이자 군사적 경쟁자이기에 중국과의 협상은 다른 나라들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매우 좋은 관계다”라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145% 관세율에 대해 “이것은 농담이 아니다"면서 "이것은 큰 숫자이고, 아무도 이것이 지속 가능하다거나 계속 유지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의 향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조정될 것임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한국 등에 대한 상호 관세 부과 조처를 90일간 전격적으로 유예했다. 미 정부는 이때 동맹국인 한국, 일본과 최우선으로 관세 협상을 타결하고, 그 동력으로 다른 나라와 순차적으로 타협하면서 중국을 포위하는 식으로 협상할 것임을 시사했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9일 워싱턴 D. C의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한국과 일본에 대해 “그들은 좋은 군사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동맹은 아니었다”면서 “우리단체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도 “일본, 한국, 인도, 베트남 등 중국 주변의 여러 국가가 미국에 보복하는 대신 협상하려고 한다”면서 “중국은 기본적으로 포위됐다"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이 트럼프 정부의 무역 협상을 주도하기 시작한 이후 상호 관세를 부과받은 국가들과 대화하려고 신속하게 움직였다고 WSJ이 전했다. 그 대상 국가로 우선 한국 등 5개국을 선정했다고 이 매체가 강조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이후 10개 이상의 국가가 미국에 놀라운 무역 거래를 제안해 왔다고 밝혔다.
미국 정부에서는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해싯 NEC 위원장 등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와 비관세 장벽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기해 왔다. 한국은 지난해 557억 달러(약 81조 원)의 대미 무역 흑자를 거둬 미국에 8번째로 많은 무역적자를 안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의회 연설에서 "한국의 평균 관세는 (미국보다) 4배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생각해 봐라. 4배나 높다. 우리는 한국을 군사적으로 그리고 아주 많은 다른 방식으로 아주 많이 도와주는데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 우방도 적국도 이렇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부분 상품을 무관세로 교역하고 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