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트럼프 관세에 美 중소기업들 '비명'…가격 상승·고용 지연·소송 봇물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에 있는 장난감 가게 '인투 더 윈드'의 폴 쿠슬러 부사장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콜로라도주 볼더에 있는 장난감 가게 '인투 더 윈드'의 폴 쿠슬러 부사장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한 고율 관세 정책의 여파로 미국 중소기업들이 실질적인 비용 증가와 경영 혼란을 호소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관세로 인한 타격을 입은 12곳의 기업인들을 인터뷰해 이같은 정책이 이미 일상적 가격 상승과 고용 지연, 소송 제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13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일부 국가에 대해 90일간의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면서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사실상 145%까지 인상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는 기존대로 25%의 관세를 유지하고 그 외 대부분 국가에는 10% 관세를 부과했다.

아이오와주 시더래피즈에 본사를 둔 유기농 뷰티 제품 제조업체 에코립스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스티브 슈라이버는 “관세가 일시적으로 유예됐지만 여전히 10%가 적용되고 있어 가격은 인상될 수밖에 없다”며 “연간 약 1000만 달러(약 142억원) 수준의 원재료비가 500만 달러(약 71억원)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코립스는 50여 개국에서 원료를 수입해 4만개 매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연매출은 약 3000만 달러(약 427억원)에 달한다.
콜로라도주 볼더에서 45년째 장난감 가게 '인투 더 윈드'를 운영 중인 폴 쿠슬러 역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는 사업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이미 입고된 상품에 대해 공급업체로부터 가격 인상 통보를 받고 있고 이는 곧 소비자 가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받은 가격 인상률은 7~10% 수준”이라면서 “현재로선 약 3%만 감당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플로리다주 펜사콜라에 본사를 둔 고급 오피스 플래너 제조업체 심플리파이드의 대표 에밀리 레이는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지금까지 100만 달러(약 14억원) 이상을 납부했다”며 “이번 관세로 앞으로 1년 안에 동일한 금액을 또 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내 생산을 시도했으나 채산성 문제로 불가능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레이는 관세가 헌법상 근거 없이 부과됐다며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대형 공연장을 운영하는 기관도 타격을 입었다. 덴버에 위치한 덴버대학교 산하 뉴먼 공연예술센터의 아리샤 아흐마드-포스트 센터장은 971석 규모의 공연장 좌석 교체를 위해 지난해 초 캐나다 몬트리올의 듀샤르메사로부터 56만 달러(약 8억원) 규모의 제품을 주문했으나 지난달 5일 25%의 관세가 부과된다는 통보를 받고 14만 달러(약 2억원)가 추가로 발생했다. 그는 “좌석은 이미 제작 중이고 설치를 위해 공연을 중단할 기간도 확보해 놓았기에 다른 선택지가 없다”며 “코로나19로 고갈된 예비비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는 이같은 관세 정책이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고 국내 제조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한 바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현장에선 관세 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이 현실적 문제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원자재의 국산화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중소기업일수록 피해가 크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