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정부의 해외원조 80% 삭감에 국제기구 글로벌 보건 위기 공조 대응 확대

케냐·말라위 등 개발도상국, 의료장비 공유 및 긴급자금 조달 논의 활발
2023년 1월 26일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의 한 약국 선반에 의약품이 진열되어 있다. 아우크스부르크 약국은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급증하는 독감 환자를 퇴치하기 위해 자체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2023년 1월 26일 독일 아우크스부르크의 한 약국 선반에 의약품이 진열되어 있다. 아우크스부르크 약국은 특히 어린이들 사이에서 급증하는 독감 환자를 퇴치하기 위해 자체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전 세계 각국과 국제보건기구들이 미국의 대규모 해외 원조 삭감으로 인한 말라리아와 에이즈(HIV) 퇴치 활동의 위기에 직면해 코로나19 팬데믹 때와 유사한 국제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12(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해외 원조 프로그램의 80% 이상을 삭감한다고 발표한 이후, 각국 정부와 국제 보건기구들이 의약품과 의료장비 공유 등을 통해 생명을 위협하는 보건 공백을 메우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RBM 파트너십의 마이클 아데쿤레 찰스(Michael Adekunle Charles) 책임자는 "우리는 다른 나라들에게 '당신들은 더 많은 생필품을 가지고 있고, 당신의 이웃 나라는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우리가 앞으로 나아갈 방법을 찾을 때까지 잠재적으로 그것들을 줄 수 있습니까?' 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기타 국제기구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각국이 물자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자원을 공유했던 방식과 유사하게, HIV 검사와 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 간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보건 전문가들에 따르면 케냐와 말라위 같은 개발도상국들은 의료 인력 재배치와 긴급 자금 조달을 논의하고 있지만, 가용 자금이 제한적이고 재배치된 인력이 해당 질병 분야에 충분한 훈련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은 상황이다.

HIV에 감염된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 of People Living with HIV)의 플로렌스 리아코 아남(Florence Riako Anam) 공동 사무총장은 "많은 수혜국들이 이미 자국 내 HIV 대응 활동의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남 사무총장은 "이런 노력만으로는 당면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고 우려를 표했다.

케냐의 HIV/AIDS 환자 국가 역량 강화 네트워크(National Empowerment Network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의 넬슨 오투마(Nelson Otwoma) 책임자는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문제는 모든 이웃 국가들도 함께 겪고 있다"며 의료장비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케냐에서는 미국 원조 삭감으로 인한 약물 공급 중단으로 HIV 환자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지도자 말라리아 연합(African Leaders Malaria Alliance)의 조이 푸마피(Joy Phumaphi) 사무총장은 "각국은 HIV 예방 치료와 말라리아 예방용 모기장 배포 등 생명을 구하는 핵심 개입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푸마피 사무총장은 "우리는 장기적인 자금 조달 해법을 계획하는 동시에 당장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제 보건기구들은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원조 삭감이 전 세계적인 치명적 질병 퇴치 노력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한목소리로 경고하고 있다. 일부 프로그램은 유지되거나 복원되었지만, 자금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향후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말라리아 종식을 위한 RBM 파트너십의 마이클 아데쿤레 찰스 책임자는 "이웃 국가들 간의 상호 협력이 단기적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욱 안정적인 자금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WHO) 관계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국가 간 의료 자원 공유 경험을 바탕으로 HIV와 말라리아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지만, 미국의 대규모 원조 삭감으로 인한 공백을 완전히 메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