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금리인하] 이창용 “금통위원 전원일치…경기하방 압력 완화”

금통위, 0.25%p 금리 인하 단행
“저성장 전망에…금통위원 2명은 3개월 내 추가인하 가능성도”
“추경시 성장률 오를 수도…재정·통화정책 공조 필수”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은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한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금리 인하 결정을 두고 “기준금리를 올해 2~3회 추가 인하해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번 결정은 금융통화위원 6명 전원의 일치 의견이다.

이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결정 방향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금통위원 6명 전원일치 인하 의견으로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p) 내렸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 11월 발표한 1.9%에서 0.4%포인트(p) 낮춘 1.5%로 조정했다.

이 총재는 금리 인하 배경에 대해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금리 인하로 대응하게 됐다“며 “앞으로의 통화정책은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으나 속도와 시기는 물가, 성장, 금융안정시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3개월 내 금리 전망에 대해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현 2.75%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답했다”면서 “2명은 경기 하방 압력을 고려할 때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고 판단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다만 통화정책은 분명한 금리 인하 국면에 있으며, 올해 금리 인하 횟수는 이달을 포함해 2~3회 낮추는 방향으로 조건부 가정하고 있다는 것이 이 총재 설명이다.

이 총재는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의 가능성을 성장률에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장률을 올릴 가능성이 남아있다”면서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1.5%보다 낮아질 우려가 있다면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공조가 필수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