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현대차 전기차에 이어 로봇에도 삼성 배터리…이재용·정의선 동맹 가속화

양사 에너지 밀도 늘린 로봇 최적화 배터리 개발
전기차 배터리 공급에 이어 2번째 배터리 동맹
조한제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오른쪽)과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가 24일 현대자동차그룹 의왕연구소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삼성SDI    이미지 확대보기
조한제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오른쪽)과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가 24일 현대자동차그룹 의왕연구소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삼성SDI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배터리 동맹이 가속화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에 이어 로봇 전용 배터리 분야에서도 기술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2020년 이 회장이 삼성SDI 천안 사업장에서 정 회장과 처음 만난 이후 시작된 양사 간 사업 협력이 물꼬를 트고 본격화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경기도 의왕에 있는 현대차그룹 의왕연구소에서 현대차·기아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로써 양사는 2023년 전기차 배터리에 이어 로봇 전용 배터리 분야에서도 협력하게 됐다. 이번 협력은 양사가 보유한 자원과 전문 기술 역량을 한곳에 모아 로봇 최적화 배터리를 개발하고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겠다는 공동의 목표에 따른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로봇 산업군에서는 전용 배터리의 부재로 전동 공구나 경량 전기 이동 수단 등에 쓰이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로봇의 특성상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인 데다 규격에 맞춰 작은 셀을 적용하면 출력 용량도 함께 줄어드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이번 협력의 핵심은 배터리 형태를 제한된 공간에 최적화하는 동시에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켜 출력과 사용 시간을 대폭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고용량 소재를 개발한다.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기존 대비 대폭 늘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신규 개발 배터리의 로봇 적용 평가와 성능 고도화를 담당한다. 다년간의 로봇 개발과 운용 경험으로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활용해 배터리 최대 충·방전 성능, 사용 시간과 보증 수명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으로 양측은 이번 공동 개발이 로봇 전용 배터리 혁신을 위한 대표적인 협력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조한제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은 "현대차·기아와 함께 로봇 시장에서도 협력을 확대하게 됐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당사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최고 품질의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상무는 "배터리 생산 역량을 보유한 삼성SDI와 함께 로봇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을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며 “로보틱스랩의 로봇 기술과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배터리 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시장 확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로봇 시장은 큰 성장이 예고됐다. 시장조사업체 포춘비즈니스인사이트에 따르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은 올해 219억4000만 달러에서 오는 2032년 555억5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