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에 수출 물량 비중 큰 현대차그룹 수익성 향상 기대
호실적 속 트럼프 행정부 눈에 띌까 걱정도
호실적 속 트럼프 행정부 눈에 띌까 걱정도

10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올해 1~11월 현대차·제네시스·기아의 미국 내 판매량은 총 154만8333대에 이른다. 이는 같은 기간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 전체 판매량 665만6684대의 23.3%에 달한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판매 비중이 23%를 넘은 것은 1988년(28.8%·26만1782대) 이후 처음이다. 2022년 21.5%, 2023년 22.6%로 상승하더니 올해 36년 만에 23% 고지를 밟았다. 미국 연간 판매 대수도 신기록을 세울 분위기다. 원·달러 환율이 강세를 보이며 수익성에서도 큰 성장이 예고됐다.
문제는 이런 호재를 만끽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내년 트럼프 행정부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1기 트럼프 행정부가 갑작스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뜯어고쳐 현대차그룹의 픽업트럭 미국 진출을 막았고, 미국 차의 국내 수입규제를 완화한 바 있다. 이에 신행정부 출범의 리스크를 가늠할 수조차 없다는 게 완성차 업계의 중론이다.
친환경 정책 폐기와 함께 보편 관세 20% 적용 등 불리한 정책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졌다. 당초 올해 호실적과 친환경차 전략 변경으로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던 현대차그룹이다.
하지만 모든 방향성을 재검토해야 될 상황이다. 무엇보다 트럼트 당선인이 전기차 보조금 지급에 부정적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취임 첫날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기차에 주력하며 기술력을 개발하고 미국 조지아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준비 중이던 현대차그룹으로서는 날벼락과 같은 발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다양한 변수에 완성차 업체 간 협력을 구축하며 대응 준비를 갖추고 있는 완성차 업계지만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에서 어떤 규제가 가해질지 알 수 없는 만큼 리스크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모두가 변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