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리플 RLUSD·XRP, 美 최초 마진 담보 승인...파생상품 시장 새 전환점 되나

리플사 로고. 사진=리플이미지 확대보기
리플사 로고. 사진=리플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알엘유에스디(RLUSD)와 엑스알피(XRP)가 미국에서 처음으로 마진 담보로 승인되며 파생상품 시장의 새 전환점이 될지 주목되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가 4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비트노미얼(Bitnomial)은 RLUSD와 XRP를 마진 담보로 지원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공식 도입했다.

비트노미얼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규제를 받는 유일한 파생상품 결제기관이다. 이로 인해 기관 투자자는 RLUSD와 XRP를 활용해 영구선물·선물·옵션 상품을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승인은 제도권 파생거래소가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을 공식 증거금으로 채택한 첫 사례로, 기관 자금 유입 확대와 실물 금융 활용 확산 기대가 커지고 있다.

비트노미얼 루크 호에르스텐 최고경영자(CEO)는 뉴욕 리플 스웰(Swell) 행사에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자본 효율성이 한 단계 도약했다”며 RLUSD가 마진 시장에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리플 스테이블코인 총괄 잭 맥도널드는 “RLUSD와 XRP 지원은 파생거래 혁신의 결정적 진전”이라며 스테이블코인의 실사용 확장이 본격화됐다고 강조했다.

비트노미얼은 올해 3월 미국 최초로 XRP 선물 시장을 개설한 바 있으며, 이번 결정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규제 환경이 개선된 상황과 맞물려 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소비자 거래 인터페이스 ‘보태니컬(Botanical)’도 곧 공개될 예정이다.

스테이블코인 채택 확대도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TRM랩스(TRM Labs)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체 암호화폐 거래 중 약 30%가 스테이블코인 기반이었다. 전 세계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의 90% 이상이 미국 달러에 연동되며, 유에스디티(USDT) 및 유에스디코인(USDC) 등도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 유럽연합 미카(MiCA), 홍콩 규제 체계가 올해 적용되며 스테이블코인 제도권 편입이 가속화됐다. 여기에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도 RLUSD 기반 결제 시스템을 검토 중으로 알려지면서 시장에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