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백악관, 바이낸스 창업자 사면 발표...“바이든 정부의 지나친 기소”

자오 창펑 바이낸스 창업자 겸 전 최고경영자(CEO)가 2024년 4월 30일 선고를 받기 위해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연방지방법원에 출두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자오 창펑 바이낸스 창업자 겸 전 최고경영자(CEO)가 2024년 4월 30일 선고를 받기 위해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의 연방지방법원에 출두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의 창업자 자오 장펑을 사면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가 23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오 사면에 서명했으며 최근 보좌진에게 자오와 다른 사람들을 둘러싼 '정치적 박해' 주장에 공감한다는 뜻을 표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23년 6월 바이낸스와 자오를 상대로 13건의 증권법 위반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와 별도로 미 법무부도 같은 해 11월 바이낸스와 자오를 기소했으며, 당시 자오는 유죄를 인정하면서 최고경영자(CEO)에서 물러나고 벌금 43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합의하면서 징역형을 면한 바 있다.

WSJ는 "이번 사면은 바이낸스가 미국에 복귀할 길을 열어줄 전망"이라며 "이 회사는 2023년 유죄 인정 후 미국 내 영업이 금지된 상태였다"고 전했다.

앞서 SEC는 지난 5월 바이낸스와 자오에 대한 소송을 철회했으며, 이를 두고 미국 언론에서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가상화폐 업계와의 협력 의지를 보이는 가운데 미국 역사상 가상화폐 업계에 대한 가장 강력했던 단속 종료를 상징적으로 의미한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자오와 바이낸스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춰 사면을 위해 노력해왔다. WSJ는 이번 사면을 두고 "자오가 트럼프 일가 소유 가상화폐 업체 지원에 수개월간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 MGX로부터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이 투자는 전액 트럼프 대통령 일가의 가상화폐 업체인 월드 리버티가 출시한 'USD1'이라는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뤄졌다.

월드 리버티는 지난해 9월 설립된 벤처로 수익의 75%를 트럼프 일가가 가져가는 구조로 돼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주당이 이번 사면 조처를 부패행위라고 주장하는 것에 어떻게 대응하겠느냐'고 묻자 "대통령은 사면 요청을 승인하는 헌법상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변인은 또 "이 사건은 바이든 행정부의 지나친 기소였으며, 해당 사건 판사도 이 개인(자오)에게 가혹한 과잉 형량을 추구했다고 인정했다"며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부당한 권력 남용을 바로잡기를 원했다. 민주당에는 바이든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그의 극도로 부패한 아들과 많은 측근을 사면한 것보다 더 부패한 행위는 없다고 말하고 싶다"고 짚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