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GS건설, 수소 생산 플랜트 패키지 개발 착수…“친환경 사업 확장”

美 수전해 선도기업 이볼로와 계약
대형 수소 생산시설 패키지 개발
테스트 완료하고 상업생산 착수
“그린 비즈니스 분야 선도할 것”
GS건설은 미국 수전해 기술 선도 기업인 이볼로(Evoloh)와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AEM) 기반 수전해 플랜트 패키지 개발’ 계약을 맺고 개발 업무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스택 설명도. 사진=GS건설이미지 확대보기
GS건설은 미국 수전해 기술 선도 기업인 이볼로(Evoloh)와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AEM) 기반 수전해 플랜트 패키지 개발’ 계약을 맺고 개발 업무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음이온 교환막(AEM) 수전해 스택 설명도. 사진=GS건설
GS건설이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는 수소 사업 진출의 토대를 마련한다.
GS건설은 미국 수전해 기술 선도 기업인 이볼로(Evoloh)와 ‘음이온 교환막(Anion Exchange Membrane·AEM) 기반 수전해 플랜트 패키지 개발’ 계약을 맺고 개발 업무에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음이온 교환막은 수산화 이온(OH−)을 전달하는 고분자 막을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저렴한 촉매로 고순도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수전해 방식이다.

GS건설은 이볼로와 올해 4월 양사간 BDP(Basic Design Package), FEED(Front-End Engineering Design), EPC(Engineering·Procurement·Construction)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BDP는 플랜트 설계에 기본이 되는 주요 도면이나 규격서, 공정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의 묶음이다. 후속 설계를 구체화 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FEED는 플랜트의 공사 범위, 주요 사양, 설계 기준 등을 구체화해 기술, 비용, 일정을 확정하는 설계 단계를 말한다. EPC 수행이나 최종 투자 결정을 위한 설계 기준을 제공한다.

GS건설과 파트너십을 맺은 이볼로社는 음이온 교환막을 기반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스택 제조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음이온 교환막 기술은 수소 분리에 필요한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아 기존에 상용화된 기술 대비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기술을 활용하면 향후 스택 제작 및 플랜트 운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이볼로는 메가와트(MW) 규모의 수전해 스택의 파일럿 테스트를 완료하고 상업생산에 착수,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했다.

GS건설은 국내외 풍부한 플랜트 EPC 사업 수행 역량과 이볼로와의 협력을 통해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춘 수백 메가와트급 수소 생산 플랜트 패키지를 개발,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에 한발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회사의 EPC 기술력과 경험을 접목해 기존 석유화학 중심의 플랜트 사업에서 친환경 에너지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전환점”이라며 “수소 시장의 밸류체인 형성을 통해 그린 비즈니스 분야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GS건설은 탈탄소 시대에 대비해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 분야에서 꾸준하게 연구와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지난 9월에는 한국가스공사, 한국스미토모상사와 ‘액화수소 인수기지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이 협약은 3사가 액화수소 저장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 실증사업 기술검토 및 실행기반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GS건설은 액화수소 저장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 검토 역할을 수행한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