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표준협회, 2025년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상반기 결과 발표..."사회적가치 지향성 지표 상승"

한국표준협회가 3일 ‘2025년 상반기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줄 왼쪽부터) 강기두 교수(숭실대학교), 조문일 상무(신한카드), 김현국 상무(에스원), 장준용 구청장(부산 동래구), 정용래 구청장(대전 유성구), 정연채 부문장(LG전자), 박현주 부행장(신한은행), 이유재 교수(서울대학교), 문동민 회장(한국표준협회), 정제원 본부장(중앙일보), 이준석 부사장(신한저축은행), 김이강 구청장(광주 서구), 정종필 전무(KB손해보험), 한상훈 담당(삼성증권), 고재윤 교수(경희대학교). 사진=한국표준협회이미지 확대보기
한국표준협회가 3일 ‘2025년 상반기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앞줄 왼쪽부터) 강기두 교수(숭실대학교), 조문일 상무(신한카드), 김현국 상무(에스원), 장준용 구청장(부산 동래구), 정용래 구청장(대전 유성구), 정연채 부문장(LG전자), 박현주 부행장(신한은행), 이유재 교수(서울대학교), 문동민 회장(한국표준협회), 정제원 본부장(중앙일보), 이준석 부사장(신한저축은행), 김이강 구청장(광주 서구), 정종필 전무(KB손해보험), 한상훈 담당(삼성증권), 고재윤 교수(경희대학교). 사진=한국표준협회

한국표준협회는 대한민국 서비스 산업 품질수준과 기업별 서비스 개선 정도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KS-SQI는 2000년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서비스품질평가 모델이다. △정확성 △전문성 △진정성 △친절성 △적극성 △이용 편리성 △외형성 △사회적 가치 지향성 등 총 8가지를 평가하며 100점 만점이다. 업종 특성과 계절성 등을 고려해 매년 상·하반기로 나눠 조사한다.

올해 상반기 조사는 금융, 통신, 도소매, AS렌탈 등 일반서비스 산업 31개 업종 120개 기업과 71개 지방자치단체 행정서비스 품질 수준을 경험한 5만3750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일반서비스 산업 업종 평균은 전년 동기 대비 0.7점 높은 76.4점, 지자체 행정서비스는 0.5점 상승한 72.1점을 각각 기록했다.

사회적 가치는 2021년 KS-SQI 3.0 모델을 적용해 처음 조사 실시 이래, 매년 가장 큰 상승을 보이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소비자 인식 변화 차원을 넘어,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

문동민 한국표준협회 회장은 “AI와 디지털 기술이 일상이 된 지금 소비자들은 단순한 서비스 만족을 넘어서 브랜드의 태도와 철학까지 함께 평가하고 있다”며 “기술은 빠르게 진화하지만 신뢰는 시간이 쌓여야 형성되는 가치다.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큰 환경 속에서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기술과 사람, 효율과 책임의 균형을 잡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