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서울 서초구 내방역 일대 탈바꿈…35층 주거·상업 시설 조성

서울시 도계위 수정가결…공동주택 252세대
서울시는 지난 19일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방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내방역 일대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2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내방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 이미지 확대보기
서울시는 지난 19일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방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내방역 일대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2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내방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 서초구 방배동 내방역 일대에 35층 규모 주거·상업·문화 복합시설이 조성된다.
서울시는 지난 19일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내방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내방역 일대 지구단위계획, 특별계획구역2 세부개발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상지는 서초구 방배동 872-11번지 일대의 내방역 역세권 활성화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서리풀터널 개통과 주변 대규모 개발사업 등이 추진 중이다.

이번 정비계획 결정으로 이 일대 복합개발을 통해 용적률 700% 이하, 지하 6층, 지상 35층, 연면적 5만7603㎡ 규모의 판매시설, 문화·체육시설, 공동주택(252세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먹거리 창업센터 이전 및 공공체육시설(스쿼시장, 클라이밍장) 등 생활서비스시설 배치를 통해 세대 간 소통을 촉진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공공기여 계획을 수립했다.

이 외에도 시는 종로구 명륜동3가 53-21번지 성균관대학교 본교 캠퍼스 내 혁신성장시설(미래혁신관)과 교육연구시설(금잔디관) 신축 내용을 포함한 도시계획시설(학교) 세부시설조성계획 결정(변경)안도 수정 가결했다.

대학 내 창업 및 기술혁신 거점을 조성하고, 미래 핵심 인재 양성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시의 대학 도시계획 혁신 정책의 하나로 마련됐다.

최고 높이(20→52m) 완화 및 혁신성장구역 지정을 통해 보다 유연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성균관대는 혁신성장구역 내 미래혁신관(11층)과 금잔디관(2층) 신축을 통해 연구 및 강의 공간을 확충할 수 있게 됐다.

미래혁신관은 2026년 6월 착공해 2029년 준공될 예정이며, 금잔디관은 2031년 착공할 계획이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