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기관·협력사 참여한 첫 전방위 감축 협력 모델
설비교체 지원부터 교육까지 하위 공급망까지 단계적 확산
설비교체 지원부터 교육까지 하위 공급망까지 단계적 확산
이미지 확대보기현대자동차·기아가 자동차산업 공급망 전반의 탄소중립 전환을 앞당기기 위해 정부 및 공공기관과 손을 잡고 민관 상생협력을 본격화했다. 차량 생산 과정 전 영역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화를 추진해온 현대차·기아가 협력사까지 포함한 전방위적인 감축 체계 구축에 나섬에 따라 산업 생태계 전환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대차·기아는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협력 부품사들과 함께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협력 선언을 넘어, 민관이 공동으로 지원하고 공급망 전체가 단계적으로 저탄소화를 실현하는 모델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프로그램의 핵심은 협력사들이 중장기적 탄소감축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있다. 현대차·기아는 설비 교체와 역량 강화를 위한 탄소저감 상생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산업부와 함께 1차 협력사의 감축설비 도입을 지원한다. 이후 1차 협력사는 지원금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하고, 중기부와 함께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해 하위 공급망까지 감축 효과가 확산되도록 설계됐다.
이 구조는 대기업이 먼저 투자 여력을 기반으로 마중물 역할을 하고, 정부와 공공기관이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더한 뒤, 협력사 간 상생 환류를 통해 전체 공급망이 자발적으로 저탄소 체계로 이동하는 연계형 모델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현대차·기아가 강조해온 동반성장 기조가 탄소중립이라는 산업 전환과 맞물려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는 구조다.
현대차·기아는 2045년까지 차량 생산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과정의 탄소 순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로드맵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4월 협력사를 대상으로 개최한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에서도 관련 기술과 설비를 소개하며 공급망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에 대해 "기업과 정부, 공공기관이 함께 만든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질적 협력 모델"이라며 "지속가능경영 실천과 산업 생태계 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약으로 자동차산업의 탄소중립 전환이 기업 단독 대응이 아닌 민관 공동의 거버넌스로 확장되면서,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규제 대응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