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현대車, ‘5년간 77조원’ 복합적 위기 대응 위해 투자 확대한다

사진=현대자동차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가 향후 5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하며 복합적 위기를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차량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설정하고 이중 330만대를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로 채울 계획이다. 하이브리드차 차종은 제네시스를 포함해 총 18개로 확대된다.

현대차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중장기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2026부터 2030년까지 총 77조3000억원을 투자하고 2030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 8∼9%를 달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제시했던 70조3000억원보다 7조원 늘어난 중장기 투자 금액이다. 관세 변수 등을 고려해 투자 전략이 수정된 것으로 풀이된다. 전년 대비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는 올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2%포인트 상향했다.

현대차는 관세 위기 극복을 위해 미국 투자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 투자 금액은 2025부터 2028까지 기존 11조6000억원(88억달러)에서 15조3000억원(116억달러)으로 늘렸다.

현대차는 이 같은 투자에 기반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주행거리 확장형 전기차(EREV), 수소차 등의 친환경차 라인업을 대폭 강화한다. 하이브리드차 라인업을 오는 2030년까지 18개 이상으로 확대한다. 내년에 제네시스 모델에는 후륜 기반 첫 하이브리드차가 라인업으로 포함된다.

또 신형 전기차를 유럽과 중국, 인도에서도 선보일 예정이다. 내년 유럽에선 소형 전기차 '아이오닉3'가 출시되며 중국에서는 올해 준중형 전기 SUV '일렉시오'가 시판된다. 오는 2027년 인도 시장에서는 경형급 전기 SUV가 출시된다.

이날 인베스터 데이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다시 한 번 불확실성의 시기를 다시 마주했다"라며 "글로벌 판매량 확대와 생산 거점 확보,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등으로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 모빌리티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