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화·통합솔루션·UX 혁신 앞세워 유럽 공략 강화

현대모비스는 9일(현지시각) 뮌헨 메쎄 옐로우 스테이지에서 '모비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포럼을 열고 최근 성과와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발표자로 나선 악셀 마슈카 영업부문장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톱3로 도약하겠다는 우리의 비전은 명확하다"며 "시장을 앞서 나가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우리의 행동 방식이 추진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동화·기능 통합·UX 극대화
배터리 내부 화학 반응으로 발생하는 고열을 감지해 듀얼 냉각으로 사고를 차단하고, 발화 시 소화약제를 자동 분사해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이다.
기능 통합 부문에서는 전자식 조향(Steer-By-Wire), 전자식 제동(Brake-By-Wire), 독립형 후륜 조향 등 차세대 샤시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나의 제어기로 차량 움직임을 통합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는 하드웨어 한계를 넘어서는 유연한 차량 아키텍처를 구현하고, 무선 업데이트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핵심 기반 기술로 평가된다.
UX 혁신의 대표 사례는 세계 최초로 홀로그래픽 광학 필름을 적용한 윈드쉴드 디스플레이다. 이 기술은 LED나 OLED와 같은 별도 디스플레이 없이 차량 유리에 모든 정보를 표시해 HUD(헤드업 디스플레이)보다 넓은 시야각과 몰입형 경험을 제공한다. 내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까지 표시 가능해 운전자 경험을 새롭게 정의할 전망이다.
글로벌 파트너십·유럽 전략
전장 기술 통합을 통한 차세대 칵핏 전략도 강화되고 있다. 통합 디지털 칵핏 'M.VICS'를 지속 업그레이드하고 있으며, 홀로그래픽 AR HUD는 글로벌 완성차와 협업을 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IAA 2025에서도 글로벌 고객사를 초청해 핵심 부품 포트폴리오를 전시하고 공격적인 영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규석 사장은 지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고객이 원하는 차별화된 기술을 선제적으로 개발해 기술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글로벌 시장 내 포지션을 확장할 것"이라며 "신기술 경쟁력과 고도의 실행력, 속도를 앞세워 모빌리티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