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현대차-GM, 공동개발 5개 차종 발표…“북미·중남미 시장 공략 박차?”

전기 밴부터 픽업트럭까지…양사 협력 본궤도, 연간 80만 대 생산 목표
현대차-gm 로고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차-gm 로고 사진=각사
현대자동차는 제너럴모터스(GM)와 양사 공동개발 차량 5종의 구체적인 계획을 7일 발표했다. 지난해 체결한 전략적 협력의 실행 단계가 본격화된 것이다.
이번 발표는 전기차부터 내연기관까지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차급에 걸친 공동 프로젝트로, 양사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주목된다.

현대차와 GM은 중남미 시장을 겨냥한 4종의 차량과 북미 시장용 전기 상용 밴 등 총 5종의 차량을 공동 개발한다.

중남미 시장 대상 차량은 중형 픽업트럭 (ICE/HEV 겸용), 소형 픽업트럭 (ICE/HEV 겸용), 소형 승용차 (ICE/HEV 겸용), 소형 SUV (ICE/HEV 겸용)이다.
북미 시장을 겨냥한 전기 상용 밴은 2028년부터 미국 현지 생산이 계획되어 있다. 양사는 이들 차량의 연간 생산 및 판매량이 8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발 주도권은 차급별로 나뉜다.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을 담당하고, 현대차는 소형차 및 전기 밴 플랫폼을 맡는다. 양사는 공통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되, 각 브랜드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도록 내·외장 디자인을 개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공동개발 차량의 디자인과 엔지니어링 협업은 이미 진행 중이며, 중남미 시장용 모델들은 2028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 대표이사 호세 무뇨스 사장은 “GM과의 협력은 더 많은 시장, 더 다양한 세그먼트에서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기회”라며, “북미와 남미 고객이 원하는 고품질, 안전, 기술적 만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GM의 글로벌 구매·공급망 책임자 실판 아민 수석 부사장 역시 “이번 협력은 중남미의 주력 차급과 북미 상용차 시장을 겨냥한 것”이라며 “양사의 상호 보완적 강점을 결합해 빠르고 저비용으로 다양한 차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력은 차량 개발에만 머물지 않는다. 양사는 북미 및 남미 지역에서의 공동 소싱 이니셔티브를 추진해, 원자재·부품·복합 시스템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또한, 친환경 제조 방식 실현을 위한 일환으로 탄소저감 강판 분야에서도 협업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자원 소모를 줄이는 제조 공정에 관한 협력이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 9월 양사가 체결한 MOU에 기반하고 있다. 당시 양사는 글로벌 공동 차량 개발 외에도 내연기관부터 하이브리드, 배터리 전기차(BEV), 수소연료전지차(FCEV)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파워트레인 기술 협업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양사는 앞으로도 이러한 분야에 대해 세부 검토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공동 프로젝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각기 다른 장점을 가진 두 제조사가 ‘플랫폼 공유, 브랜드 개성 유지’라는 전략으로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향후 제품이 본격 양산 단계에 들어설 경우, 중남미와 북미 양쪽 시장에서 적잖은 지각변동이 예고된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