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양극재 수출액·물량 모두 감소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등 소재사 실적 부진
하반기 신규 고객사 확보 등 판매 증가로 반등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등 소재사 실적 부진
하반기 신규 고객사 확보 등 판매 증가로 반등

20일 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양극활물질 수출액은 26억2000만달러(약 3조6533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27% 줄었다. 2년 전인 2023년 상반기(75억400만달러·10조4635억원)와 비교하면 65% 감소한 수준이다. 수출 중량도 줄었다. 2023년 상반기 15만260t에서 지난해 12만6623t, 올해는 10만9198t으로 역성장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배터리 제조 원가의 약 4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다.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한다.
기업들 실적도 부진했다. 올 상반기 포스코퓨처엠은 매출 1조5063억원, 영업이익 18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27%, 56% 줄었다. 양·음극재 사업을 담당하는 에너지소재사업 부문 역시 231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다. 2분기 실적을 아직 발표하지 않은 LG화학(첨단소재 부문)도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LG화학 양극재 사업이 149억원의 영업손실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엘앤에프 등 다른 업체들 역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반등은 하반기로 예상된다. 신규 고객사 확보를 통한 판매 확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최근 에코프로비엠은 SK온과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맺고 올 연말까지 국내산 수산화리튬 최대 6000t을 공급하기로 했다. 엘앤에프는 SK온과 북미 지역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포스코퓨처엠은 최근 일본 한 배터리 업체에 음극재를 공급하기로 했다. 장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하반기는 이월됐던 북미 고객사향 N86(니켈 함량이 80% 이상인 양극재) 출하가 더해지고,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부문도 에너지저장장치(ESS)향 물량이 더해지면서 양극재 부문이 가동률 개선에 따른 흑자전환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전망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