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D램 전환·물량 부족에 DDR4 가격 40% 이상 오를 수도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 3분기 PC·서버용 DDR4 가격 상승 전망
삼성전자의 3세대 10나노급(1z) 8Gb DDR4 D램.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의 3세대 10나노급(1z) 8Gb DDR4 D램. 사진=연합뉴스
글로벌 메모리 제조사들이 최신 D램 제품으로의 전환을 서두르자, 고객사들이 구형 제품인 DDR4를 선제적으로 비축하고 있다. 여기에 공급 부족 현상까지 겹치며, 올해 3분기 DDR4 가격이 40% 이상 오를 가능성이 제기됐다.
7일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3분기 PC·서버용 DDR4 가격이 각각 38~43%, 28~33%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모바일 D램인 LPDDR4X도 23~28%, 소비자용 DDR4는 최대 45%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주요 업체들이 고사양 제품 중심으로 생산을 전환하고, DDR4 및 LPDDR4X의 단종 계획을 본격화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트렌드포스는 이에 따라 고객사들이 재고 확보에 나섰고, 3분기 전통적인 수요 증가까지 더해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국의 상호 관세 면제 종료 시점이 다가오면서, 고객사들이 구형 D램 확보에 속도를 낸 것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공급은 줄어들고 있어 가격 상승 압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DDR4 수요는 3분기에도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며, 공급업체들은 가격 인상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며 “특히 대만 업체들은 생산능력과 제품 스펙 측면에서 수요를 따라가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반면, DDR5·LPDDR5X·GDDR7 등 최신 제품은 생산 비중이 높아 가격 상승 폭은 비교적 작을 것으로 보인다. DDR5는 38%, LPDDR5X는 510%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2분기에 하락했던 GDDR7은 3분기부터 5~10% 반등할 전망이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