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적자 2255억원서 1분기 흑자 전환
생산 시설 효율화와 IRA 보조금 커진 것이 이유
불확실한 시장 대응 위한 3가지 실행 과제 발표
"지금 위기 슬기롭게 극복해 도약 기회 만들 것"
생산 시설 효율화와 IRA 보조금 커진 것이 이유
불확실한 시장 대응 위한 3가지 실행 과제 발표
"지금 위기 슬기롭게 극복해 도약 기회 만들 것"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매출 6조2650억원, 영업이익 3747억원을 실현했다고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 영업이익은 138.2% 늘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엔 2255억원의 적자가 났다.
실적 개선은 생산시설 운영 효율화로 고정비를 낮추고 IRA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금액이 확대된 것이 주효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 에너지저장장치(ESS) 공장 건설을 중단한 대신 미시간 단독 공장을 ESS 생산기지로 활용하기로 했다. 또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와 짓기로 한 세 번째 합작 공장도 인수하기로 했다.
1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AMPC는 4577억원으로 1년 전(1889억원)과 비교해 2688억원, 전분기 대비로는 804억원 늘었다. 북미 내 생산량이 늘어나며 보조금 수혜 혜택이 확대된 것이다. AMPC는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 기술의 제조를 촉진하기 위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대해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북미에서 배터리 생산 시 셀 1킬로와트시(kWh)당 35달러, 모듈 10달러를 보조금으로 지급한다.
다만 2분기에는 주춤할 것으로 점쳐진다.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관세 전쟁으로 주요 고객사들의 전동화 계획이 연기될 가능성이 큰 탓이다. 이창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실적 전망에 대해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완성차 업체들의 재고 운용 기조가 보수적으로 갈 것으로 보여 전분기 대비 감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불확실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운영 효율화, 전략적 사업 기회 발굴, 관세 영향 최소화와 비용 절감 등 '3대 실행 과제'를 발표했다. 현재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 캐즘,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 놓여 있다.
먼저 회사는 수요 하방 위험에 대비한 운영 효율화에 집중한다. 이 CFO는 "운영 효율화에 만전을 기울이고자 한다"면서 "올해 초 연간 설비투자를 전년 대비 20~30%를 줄이겠다고 밝혔는데 최근 대내외 변수들이 생겨 이를 30% 이하로 낮추고 당분간 신규 공장 증설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46시리즈 등 신규 제품군 확대를 통한 전략적 사업 기회 발굴에도 나서기로 했다. 회사 관계자는 "차별화된 글로벌 오퍼레이션 역량, 제품 포트폴리오와 선제적으로 구축한 권역별 현지 생산 거점을 활용해 고객들의 현지화 요구에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면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로봇·드론 등에 적합한 고출력 셀 개발을 통해 신규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김동명 사장은 "그동안 경험하지 못했던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지만 지금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다시 없을 성장과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저력을 바탕으로 흔들림 없이 미래를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