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함께 국내 조선업계가 새로운 활기를 찾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업계는 미국의 신규 선박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자국의 선박 건조 능력이 부족하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국내 조선업계 협력이 필요해서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 조선사들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한·미 간 조선업 협력이라는 호재를 맞이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7일 윤 대통령과 통화에서 우리 선박 수출뿐만 아니라 보수·수리·정비(MRO)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한국과 협력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의 이런 입장표명은 미국 조선업의 건조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1200조원의 국방예산으로 군함을 확보가 절실하지만, 자국 조선업의 건조능력이 부족해 협력국을 찾아야 하는 게 미국의 실정이다.
미국 조선업은 1980년대 이후 쇠퇴하기 시작했다. 당시 레이건 정부는 조선업에 정부 보조금을 쏟아붓는 것이 자유시장 이론과 맞지 않다고 보며 보조금을 대폭 줄였다. 소련과의 냉전 시기로 군용 수주량이 있으니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에서다.
하지만 레인건 시대 직후 소련이 붕괴했고 군용 수주량이 폭락하며 9개의 미국 해군용 조선소가 냉전 종식과 함께 문을 닫았다. 이후 미국 조선업이 수직으로 하락했고 중국과 한국, 일본3국의 조선업이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선전했다.
이에 한국과 일본 조선업계에 미국이 손을 내밀고 있다. 특히 미국의 대표적인 '조선업 보호주의' 법안인 존스법으로 수입이 안되는 게 조선 분야인 만큼 해외 조선기업 유치를 위해서도 미국이 한국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이에 미국은 국내 기업이 자국의 조선소를 인수해 현지에서 조선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은 이미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도 HD현대와 한화오션이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MRO사업을 시작으로 미국 조선소 인수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저가 수주를 내세우는 중국과 달리 한국 조선사들이 액화천연가스(LNG)선, 초대형 운반선 같은 대형 선박 분야에서 강점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 밖에 자율운항 선박과 무인수상정 같은 첨단 선박 개발에도 앞장서 있는 만큼 미국 입장에서 관심이 높다.
중국의 선박 건조는 2023년 세계 물량의 50.7%를 차지했다. 2014년 35.9%에서 15%포인트 가까이 성장하며 2016년을 제외하고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런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고 자국의 국방과 조선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동맹국인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 해군이 함정 건조와 MRO를 위해 한국 조선사와 협력해온 움직임에다 중국을 더 강하게 견제하는 트럼프 당선인의 기조까지 더해지면서 한국과 가장 먼저 협력할 분야로 조선이 꼽혔다고 생각한다"며 "미국 조선소 현대화와 조선 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