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국제유가 100달러 돌파 '시간문제'...일부 현물 이미 돌파

원유 소비 사상 최대 불구 사우디·러시아 감산 유지
전문가들, 배럴당 100달러 돌파 잇따라 전망

장용석 기자

기사입력 : 2023-09-19 16:07

그래픽=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그래픽=뉴시스
고공 행진하는 국제유가의 배럴당 100달러 돌파가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일부 지역 원유 현물가격은 이미 100달러를 넘어서면서 유가 수준이 과도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18일(이하 현지 시간) 외신 보도에 따르면, 국제유가는 글로벌 공급 차질 우려에 따라 이날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중질유(WTI) 선물 가격 종가가 91.48달러로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전 거래일 종가 대비 50센트(0.53%) 오른 배럴당 94.43달러로 마감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원유 소비는 사상 최대로 급증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감산으로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영국 북해산 브렌트유는 지난 3월 저점 이후 30% 이상 가격이 오른 상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5일 사우디 에너지부는 지난 7월 시작한 하루 10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 정책을 오는 12월까지 3개월 연장하기로 발표했다. 러시아도 하루 30만 배럴의 석유 수출 규모 축소를 연말까지 유지하기로 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이 3개월 연속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원유 공급 부족 우려가 가중되고 있다. 미국 에너지관리청(EIA)에 따르면, 미국의 10월 원유 생산량은 하루 939만3000배럴로 지난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 수치는 이달보다 약 4만 배럴 줄어든 것으로 지난 2022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다.

감소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미국 셰일오일 업체들이 생산을 늘리는 대신 생산시설을 줄여 투자자들에게 이익을 돌려주고 빚을 갚는 데 주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 침체에도 원유 수요가 강력한 중국은 원유 가격 상승의 주요 리스크로 지목되고 있다.

원유 가격 상승이 확실시되면서 트레이더들과 애널리스트들의 배럴당 100달러 돌파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마이크 워스 셰브론 최고경영자(CEO)는 현지 언론에 "원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암리타 센 컨설팅기업 에너지어스펙츠의 수석 분석가는 "유가가 100달러까지 갈 수 있느냐"는 질문에 "전적으로 그렇다"며 유가 추가 상승을 예상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현물시장의 일부 유가는 이미 100달러를 넘어섰다.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산 원유 콰이보에(Qua Iboe) 가격은 이날 배럴당 100달러를 넘어선 데 이어 말레이시아산 원유 타피스도 지난주 101.30달러를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유가 고공 행진에 지나치게 가격이 높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씨티그룹 글로벌 원자재 리서치 책임자는 "사우디와 러시아를 제외하면 수요 증가보다 공급 증가가 빠르기 때문에 90달러대는 지속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분석업체 세밥의 한 분석가도 현지 언론에 "브렌트유가 배럴당 110~120달러까지 오르면 석유제품 수요는 더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런 가격 수준은 과도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