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제1차관,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IT위원회 관계자 접견
이미지 확대보기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국내 주요 게임사 노동조합(노조) 관계자들과 함께하는 '게임산업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6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서울 중구 소재 코리아콘텐츠랩에서 열렸다. 김영수 문체부 제1차관이 현장에서 넷마블과 스마일게이트, 엔씨소프트, NHN 등 주요 게임사 노조들이 소속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화학섬유식품노조 IT위원회 관계자들을 만나 현안을 논의했다.
게임 개발은 프로그래밍, 기획, 아트 디자인 등 다양한 업계인이 참여하는 가운데 콘텐츠 출시 시점 등 시간에 따라 업무 강도가 가변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정해진 시간의 근무제를 원칙적으로 적용하는 대신 유연한 근무 시간 활용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구가 꾸준히 있어왔다.
현장에 참여한 노조 관계자들은 이러한 점을 토대로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해 재량적, 탄력적,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 현행 유연 근로시간제를 잘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 외에도 노동 시간의 양적 투입보다는 자유롭고 수평적 근로 문화를 정착, 게임의 본질 '재미'에 집중하며 다양한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수 차관은 "노동 환경 개선은 결국 산업 발전으로 이어진다"며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 산업이자 창의성이 중요한 문화 창조 산업인 게임의 특수성을 고려해 노동 환경 개선, 산업 발전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