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KT ‘소액결제 사건’ 새로운 형태 범죄…근원적 대책 나와야

피해 지역 동일, 불법기지국 통한 해커 침입 원인
과기정통부 중심 민관합동조사단 ‘전방위 조사’ 나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9일 경기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첨단 GPU 확보 및 AI 고속도로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9일 경기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첨단 GPU 확보 및 AI 고속도로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KT 고객들의 해킹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배경훈 과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9일 열린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해킹 사건이 계속 나오면서 조사를 진행 중으로, 단순 대응하지 않고 근본적으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 장관의 이 같은 발언으로 KT 해킹 사태가 어떤 국면을 맞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KT 무단 소액 결제 침해 사고 조사를 위해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졌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정부에서 2명과 한국인터넷진흥원 4명, 민간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됐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이번 사건에 대해 심도 깊은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또 타 통신사와도 내용을 공유해 필요한 조치까지도 이루어진다.

KT의 가입자 무단 소액 결제 침해 사고는 고객의 스마트폰이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접속했을 때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고객이 모르는 사이에 불법 초소형 기지국에 접속되면 해커가 침입해 개인정보를 침탈해 소액 결제를 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해킹 침해를 당했던 고객들 주거지 상당수가 같은 지역이다.

현재 과기정통부는 이 불법 기지국이 타 장소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지난 9일 불법 기지국에 통신망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할 것을 KT에 요구했다. KT는 이 요구를 받아 즉각적으로 조치한 상태다.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 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또 소액 결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도 정밀 조사 중이다.
사건 수사 자체는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맡고 있다. 경찰은 이 사건이 새로운 유형의 범죄라고 판단하고 수사전담팀을 기존 1개 팀(5명)에서 수사 지원 인력을 포함한 4개 팀(25명)으로 늘렸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