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네이버클라우드, 동남아 소버린 AI 본격 진출…태국어 LLM 공동 개발

네이버클라우드가 태국 AI·클라우드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SIAM.AI Cloud)와 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및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네이버와 엔비디아 주요 경영진이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을 통해 소버린AI 구축 및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정소영 엔비디아코리아 대표, (통역사),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의 모습. 사진=네이버클라우드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클라우드가 태국 AI·클라우드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SIAM.AI Cloud)와 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및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네이버와 엔비디아 주요 경영진이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을 통해 소버린AI 구축 및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사업 확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정소영 엔비디아코리아 대표, (통역사),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의 모습.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가 태국 AI·클라우드 기업 시암 AI 클라우드(SIAM.AI Cloud)와 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및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측은 "시암 AI는 태국의 AI 전환을 주도하는 기업"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가 보유한 LLM 운영 경험, 태국어 데이터, GPU 인프라 등을 바탕으로 연내 상용 가능한 태국어 기반 LLM을 구축하고, 관광 산업에 특화된 AI 에이전트를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후 다양한 사이즈의 모델 라인업을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와 공공 서비스, 학술 분야 등 AI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대만에서 열린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 행사인 'NCP 서밋(NVIDIA Cloud Partner Summit)'에서 진행됐으며, 네이버클라우드와 시암 AI가 각각 한국과 태국의 유일한 파트너로 참석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해부터 엔비디아와 소버린 AI 구축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실제 사업 모델을 구체화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왔고, 이번 시암 AI와의 협력도 그 결실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와 엔비디아 주요 경영진이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 후 기념 촬영을 하고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이 퓨리(Jay Puri) 엔비디아 총괄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의 모습. 사진=네이버클라우드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와 엔비디아 주요 경영진이 대만 엔비디아 오피스에서 별도 미팅 후 기념 촬영을 하고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제이 퓨리(Jay Puri) 엔비디아 총괄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의 모습. 사진=네이버클라우드


협약식에는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최수연 네이버 대표도 함께 참석해 향후 동남아 소버린 AI 사업 확대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협력은 단순히 LLM 구축을 넘어, 태국이 자국 내에서 AI 모델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력과 통제권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이는 독자적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에게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암 AI처럼 LLM,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등 현지에서 소버린 AI 구축이 가능한 파트너들과 협력해 동남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는 AI 서비스·데이터·AI 백본·슈퍼컴퓨팅 인프라·클라우드·데이터센터까지 AI 밸류 체인 전 영역에 걸친 역량을 갖추고 있어, 소버린 AI를 필요로 하는 국가와 기업들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