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안심'이 팔린다…이통 3사 보안 UX 경쟁, 국회도 법제화 시동

보안이 브랜드 경쟁력의 새 기준
국회, 정보보호 의무화 카드 꺼내
국회 입법조사처는 21일, 이동통신사의 정보보호 예산을 정보기술 예산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안이 더 이상 기술의 부속이 아닌 ICT 서비스의 기반이 되면서, 이제는 각 통신사의 신뢰를 가르는 새로운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지=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국회 입법조사처는 21일, 이동통신사의 정보보호 예산을 정보기술 예산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안이 더 이상 기술의 부속이 아닌 ICT 서비스의 기반이 되면서, 이제는 각 통신사의 신뢰를 가르는 새로운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지=연합뉴스

21일 국회 입법조사처가 이동통신사(이하 이통사)의 보안 대응에 대해 강도 높은 경고를 내놨다. 반복되는 해킹 사고 속에서, 정보보호 예산을 정보기술(IT) 예산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한 것이다. 이제 '보안'은 기술의 부속이 아니라, 각 사의 서비스 신뢰를 가르는 기준이자 브랜드를 정의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이날 보고서에서 지난 10여 년간 반복된 대규모 해킹 사례들 (2012년 KT, 2023년 LG유플러스, 2025년 SK텔레콤)을 지적하며 정보통신망법 개정을 제안했다. 이러한 제도 강화 움직임과 맞물려 이통 3사는 '보안 UX'를 앞세운 경쟁에 돌입하는 모습이다. 유심 해킹과 보이스피싱, 큐싱(QR 피싱) 등 다변화되는 정보 공격에 대응해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사용자 경험 차원에서 녹여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보이스피싱 대응 UX와 실질 보상으로 차별화에 나섰다. 대학가에 AI 기반 탐지 기술 '안티딥보이스' 체험 부스를 운영하고, 통화 요약 기능을 갖춰 보안을 돕는 AI 비서 '익시오(ixi-O)'를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2년 이상 고객 및 신규 가입자에게 해킹·피싱 보험(최대 300만 원)을 무상 제공한다. 이 밖에도 매장 방문 고객 대상 대면 인증과 가상번호 제공, 예방 교육 등을 병행하며 고령층 보안 UX에 집중하고 있다.

KT는 개방형 보안 플랫폼 서비스로 접근한다. 자사 고객뿐 아니라 누구나 쓸 수 있는 '안심QR' 서비스를 iOS까지 확대하며 QR 피싱 차단에 나섰다. QR코드를 스캔하면 누구나 악성 URL 여부를 실시간 분석해 차단하거나 경고하는 방식이다. AI 기반 위험 탐지, 번호 보호 서비스, 비정상 기기 변경 탐지 등 실생활 기반 보안 기능도 강화됐다.

SK텔레콤은 한 달 전의 유심 해킹 사고와 관련해 사후 패치 식의 보안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고객안심패키지'를 출시했으며, 유심 정보와 단말기 IMEI를 결합해 복제폰 접속까지 차단하는 FDS 2.0을 상용망에 적용했다. 아울러 eSIM 셀프 교체, 전국 유심 교체 확대 등의 물리적 조치를 병행하는 모습이다.

통신 3사의 보안 UX 전략은 서로 다른 고객 접점을 겨냥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고객 경험에서의 보안'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산업 전환의 신호로 읽힌다. 관련 제도적 압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정보보호 투자가 단기 비용이 아닌 장기적 브랜드 신뢰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할 지 주목된다.

ICT 업계 한 관계자는 "보안은 이제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사용자가 통신사를 선택하는 핵심 기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입법조사처는 이통사에 대해 △정보보호 예산 비율 명문화 △고위험 산업군 인증 기준 강화 △보안인증 취소 및 과징금 부과 △현장심사 강화 등을 포괄하는 입법 조치를 권고했으며, 핵심 서버의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의무 지정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