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ReStart K경제 리더십] "두산의 변신은 무죄"…박정원 회장 AI로 미래 승부

박정원 회장 AI 생태계 구축 속도
AI 관련 조직 만들며 시장에 대응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사진=두산그룹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사진=두산그룹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커지는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발맞춰 생태계 구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올해 신년사에서 AI 연계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주문한 데 이어 최근에는 피지컬 AI 혁신 전담 조직을 신설하며 AI 대전환을 기회로 삼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두산그룹의 미래를 책임질 또 한번의 승부수가 본격화되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박 회장은 AI를 핵심축으로 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앞으로 급성장할 AI 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조직 등을 새로 만들며 관련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두산그룹은 지난해 말 그룹 차원의 AI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완료한 데 이어 최근 ‘피지컬 AI’ 혁신을 담당하는 조직인 ‘PAI 랩’을 지주 부문에 신설했다.

피지컬 AI는 AI가 실제 기계나 로봇과 같은 실물 하드웨어에 적용돼 다양한 작업 환경 속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해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두산그룹은 피지컬 AI 혁신을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과 로드맵 실현을 위한 선행 기술 개발, 관련 기업들과의 폭넓은 협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AI 관련 글로벌 스타트업과의 전략적 협력과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그룹 핵심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도 얼마 전 전략·혁신 부문 내 ‘디지털 이노베이션’ 센터를 ‘AI 이노베이션’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AI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준비에 지주사뿐 아니라 주요 계열사들도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행보는 박 회장이 AI라는 기회를 잡고 이를 새로운 성장축으로 삼기 위해서다. 그는 올해 신년사에서 임직원들에게 AI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술 발전 속도로 볼 때 향후 기업 활동의 모든 분야에서 AI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두산 고유의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가용한 역량을 모두 모아야 한다"면서 "AI 관련 수요 급증과 세계 전력시장 확대 기회 속에서 대형 원전,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소연료전지, 전자소재 사업에서 더욱 속도를 높여 시장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이 집중하고 있는 AI 시장은 빠른 성장이 예고된다. 한국무역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AI 시장 규모는 2030년 153억 달러(약 21조2088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글로벌 AI 시장은 이보다 54배 큰 8267억 달러(약 1145조9715억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AI가 최근 화두로 떠오르자 (두산그룹이) 이를 축으로 한 신사업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변화에 뒤처지지 않으면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