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비트코인 중국 리스크"

미란보고서의 작성자이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경제 참모 출신인 스티븐 마이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는 15일(현지시간) 최근 미중 간 무역 갈등 재점화로 인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더 긴급히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준 FOMC "긴급 금리인하" 점도표 수정 소식에 뉴욕증시는 물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암호화폐와 달러환율 국채금리 금ㄱ밧등이 요동치고 있다.
연준이 마이런 이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CNBC 방송 주최 '인베스트 인 아메리카' 포럼에 참석해 최근 미중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된 게 경제 불확실성을 더욱 키우고 있다며 이처럼 판단했다. 마이런 이사는 "그동안 미중 무역긴장 불확실성이 소멸했다고 여겨왔고, 그에 따라 성장의 일부 측면에 대해 낙관적이었다"며 "하지만 중국이 합의를 어기면서 이젠 비록 잠재적이지만 불확실성이 돌아온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책 입안자로서 새로운 '테일 리스크'(발생 확률은 극히 낮지만 발생 시 손실이 매우 큰 위험)의 도입에 대해 고려하는 것은 의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마이런 이사는 현 상황에 비춰볼 때 기존에 판단했던 것보다 연준이 좀 더 공격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언급했다. 마이런 이사는 앞서 지난달 17일 공개된 연준 경제전망(SEP)의 금리전망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 수준을 2.75∼3.00%라고 예상한 위원이 자신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현 수준 대비 연내 1.25%포인트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한 것이다.
연준은 오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월가 안팎에서는 연준이 이달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와중에 혼조양상이다. 미국과 중국은 무역을 둘러싼 긴장을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오후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산 식용유의 수입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이에 장 막판 주가지수가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으나 이날 오전부터 주가지수 선물가격은 줄곧 오르면서 위험 선호 회복을 시사했다. 무역 갈등은 여전하지만 일단 이달 말 양국 정상회담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증시를 지탱하는 것으로 풀이된다.모건스탠리는 올해 3분기 주당순이익(EPS)과 매출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매출은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뱅크오브아메리카 또한 EPS와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개장 전부터 주가가 탄력을 받았다.두 회사 모두 투자은행(IB) 부문의 수수료가 급증했는데 이는 인수합병, 기업공개 등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다는 신호다. 그만큼 금융시장에 낙관론이 퍼져 있다는 의미다.
인공지능(AI) 설비투자 산업에선 빅테크뿐만 아니라 거대 금융회사들도 동참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기대감을 자극했다.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엔비디아가 참여하는 AI 인프라 투자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설계·운영사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를 400억달러에 인수할 계획으로 전해졌다.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모두 강세다. 브로드컴은 2% 이상 오르고 있고 오라클은 4% 강세다. AI 인프라 분야로 강한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은행 업종도 전반적으로 강세다. JP모건체이스는 2% 넘게 오르고 있으며 뱅크오브아메리카는 3.86% 상승 중이다.모건스탠리는 6.6% 급등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정도만 0.32% 상승에 그쳤다.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2.2% 뛰고 있다. TSMC와 ASML 등은 3% 안팎으로 오르는 중이다.
유럽증시도 일제히 밀렸다.유로스톡스50 지수는 전장 대비 1.19% 뛰고 있다. 독일 DAX 지수는 0.04% 하락하는 반면 프랑스 CAC40 지수는 LVMH의 급등세에 힘입어 2% 상승세다. 영국 FTSE100 지수는 0.20% 떨어지고 있다.국제 유가도 위험 선호 회복 속에 오름세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