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베선트 美 재무 “11월 상호관세 유예 만료 전 美·中 무역합의 가능성”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16일(이하 현지시각) CNBC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회담이 거듭될수록 생산적이 되고 있다”며 “중국도 이제 무역합의가 가능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해방의 날’ 조치를 통해 전 세계 교역국에 고율 관세를 발표했으며 중국에 대해서는 최대 145%의 관세를 예고했으나 협상 재개로 일시 중단했다. 당초 8월 12일 종료 예정이던 관세 유예는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10일까지 연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의 2024년 대중 무역적자가 약 3000억 달러(약 414조 원)였으나 올해 7월까지 1280억 달러(약 177조 원)로 줄었다며 “올해 적자는 최소 30% 감소할 것이고 2026년에는 더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선트는 또 틱톡 사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서비스를 중단할 의지를 보이자 중국이 합의 가능성을 인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는 19일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대화를 계기로 틱톡 문제도 결론날 것으로 전망했다.

틱톡은 17일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을 앞두고 있으며 모기업 바이트댄스의 지분 매각이나 기한 연장이 없으면 운영이 불가능하다. 인수 후보로 거론된 오라클 주가는 장전거래에서 5%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추진한 ‘상호관세’는 현재 위헌 논란으로 미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베선트 장관은 “대법원이 대통령 권한 남용이라고 판단할 경우 지금까지 징수한 관세 수입의 절반가량을 환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