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일본, 1조1900억 원 ‘드론 방어망’에 투입…내년 국방예산 12조 원 편성

中·北 무인기 대응 본격화…자위대, 2027년 육해공 통합 무인 방어체계 실전 배치
항공 및 해상 자위대를 위한 타격 드론의 종류. 사진=일본 방위성이미지 확대보기
항공 및 해상 자위대를 위한 타격 드론의 종류. 사진=일본 방위성
일본 정부가 중국과 북한의 무인기 위협에 맞서 86000만 달러(119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해안을 지키는 ‘SHIELD’(통합 연안 방어체계) 무인 방어체계 개발에 나선다.
지난 14(현지시각) 군사전문 매체 밀러터니와 요미우리신문 등은 일본 방위성이 내년(2026) 국방예산안에 SHIELD 사업비 12800억 엔(12조 원)을 포함했다고 전했다. 이번 예산 편성은 연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일본이 드론 등 무인 장비 구입을 대폭 늘려 사상 처음으로 해안선 전체에 걸친 입체 방어 프로젝트에 착수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일본, 기록적인 무인 방어 예산 편성


일본 방위성은 2026년 국방예산안에서 12800억 엔(12조 원)SHIELD 사업에 책정했는데, 이는 올해 예산보다 13%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연안 방어에 드론 등 무인기를 대거 투입할 것을 명확히 했다. 공식 예산서에는 공중, 바다 위, 바닷속에서 운용하는 다양한 드론·무인 시스템을 육··공 자위대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제어한다는 계획이 확인됐다.

업계에서는 최근 중국과 북한이 공격·정찰용 드론 전력을 급격히 늘린 것이 일본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직접적인 배경으로 보고 있다. 일본 합동참모본부 통계에서도 지난해 중국 무인기가 일본 영공 인근에서 비행한 횟수가 30회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8회보다 4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SHIELD, 중국·북한 드론 집중 견제…자위대 통합운용 예고


방위성이 내놓은 공식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SHIELD는 육상·해상·공중 자위대가 보유한 드론과 무인 장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해 운용하는 체계다. 육상 자위대는 앞으로 정찰용·공격용 소형 드론 세 종류를 도입한다.

타입1’은 장비와 목표물을 가까이서 노리는 단거리 드론, ‘타입2’는 사정거리를 늘려 상륙함 및 요새 공격에 투입된다. ‘타입3’은 최대 100km까지 멀리 날아 지상과 해상 표적을 타격할 수 있다. 해상 자위대는 함정에서 발사하는 무인기, 정찰·공격이 가능한 소형 무인정도 새로 확보한다. 항공 자위대 역시 대함 공격용·요격용 장거리 드론 배치에 초점을 맞춘다.

이 밖에 일본은 트뤼키예 등 해외 기술을 활용한 후 순차적으로 국산화에 나서고 있다. 4월에는 무인기 운용 전담 전략팀을 신설해 30명 안팎의 인력이 실전 배치 방안과 통합 시스템 검증 작업에 들어갔다.
소형 공격 드론은 Type-1, Type-2, Type-3의 3종류가 계획되어 있다. 사진=일본 방위성이미지 확대보기
소형 공격 드론은 Type-1, Type-2, Type-3의 3종류가 계획되어 있다. 사진=일본 방위성


중국 드론 급증이 직접 도화선…2027년 실전 배치 목표


이 같은 대규모 방어체계 추진은 최근 중국과 북한 무인기 비행이 급격히 늘고, 전투기 대신 무인기로 대응하려는 현장 상황 변화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일본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드론이 일본 영공 인근을 비행한 횟수는 30회로, 전년 8회보다 4배가 넘게 늘었다. 특히 난세이 제도 등 민감 해역에서 중국군의 무인기 활동이 크게 늘면서, 실제 상황에서 드론 요격 시뮬레이션 실험과 대규모 운용 사례도 대폭 늘고 있다.

일본 방위성은 2027년까지 SHIELD 체계를 3개 군 전체에 배치할 계획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드론의 공격 및 방어 효과가 입증된 가운데, 관련 예산은 올해보다 13% 증가해 드론 시대군사 대전환을 본격화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