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영역에 자금 공급해야" 당부
'금융의 대전환' 李 대통령 방향성 따라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동요하는 내부 달래고
금감원 불만도 봉합하는 역할 '산 넘어 산'
'금융의 대전환' 李 대통령 방향성 따라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동요하는 내부 달래고
금감원 불만도 봉합하는 역할 '산 넘어 산'

이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식 이후 8대 금융지주(KB·신한·우리·하나·NH농협·BNK·IM·JB) 및 은행연합회 회장을 만나 생산적 금융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첨단산업, 벤처·혁신기업, 지역경제, 재생에너지 등 새로운 영역에 자금을 공급해야 한다”면서 “조만간 업계와 전문가가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해 생산적 금융 과제를 구체화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이 부동산에서 첨단산업 분야 또는 일상적인 경제활동 분야로 자금을 옮기는 ‘금융의 대전환’을 방향성으로 잡았다고 언급한 데 연장선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소비자 중심 금융도 강조하면서 “자율적·선제적 채무조정과 서민금융상품 공급에 금융산업이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신뢰 금융을 위해 가계부채 관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제2금융권 연체율 안정화, 주력산업 사업재편 등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이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금융감독체계 개편도 언급했다. 그는 “18년 만에 금융감독체계 개편은 정책은 정책답게, 감독은 감독답게 기능하는 미래지향적 개편이 돼야 한다”면서 “그 과정에서 금융회사와 금융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당국 개편을 마무리할 핵심 인물이다. 해체 기로에 선 금융위의 수장이 된 그는 차질 없는 금융위 정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과의 갈등도 봉합해야 한다.
정부는 금융 정책·감독 기능을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금감위 산하의 금감원 및 금융소비자보호원 등 4개 기관에 맡기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이 위원장은 금융위 소속 공무원 263명 중 일부 인원의 세종 재경부 이동을 위해 행정안전부와 막판 세부안 조율 과정을 거쳐야 한다. 세종으로 이동할 인원과 서울에 남을 인원의 의견 수렴 절차도 거쳐야 한다.
이 위원장은 내부 직원들의 혼란을 의식한 듯, 이날 취임식에서 직원들에게 작성한 편지를 읽었다. 그는 “불확실성을 걱정하는 마음과 그 무게를 충분히 공감한다”면서도 “그렇지만 공직자로서 국가적으로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그 정해진 결정에 따라야 하는 것도 우리의 책무이자 의무”라고 했다.

금감원의 반발도 난관이다. 금감원의 공공기관 지정에 따라 금융위는 금감원의 제재권, 분쟁조정 기능 등 권한을 신설 금감위에 넘기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거세게 반발하던 금감원 직원들은 주요 권한마저 박탈될 가능성에 반대 목소리를 더 높이고 있다. 개편안 확정 이후 반대 집회를 벌여온 금감원 직원들은 총파업까지 고려하고 있다. 본원 로비에는 각종 반대 팻말과 근조기, 근조 화환이 줄지어 설치됐다.
이 위원장은 이와 함께 새 정부 금융정책을 원활하게 추진해야 한다. 우선 113만여 명의 장기 연체자 채무 탕감을 위한 배드뱅크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당초 지난 12일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영세 대부업체의 반발로 운영 재원 분담비율을 정하지 못하면서 연기됐다.
추가적인 가계부채 관리도 이 원장의 고민거리다. 가계부채는 6·27 대책과 9·7 대책으로 증가폭이 주춤하고 있지만,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집값 상승 기대심리 불씨가 아직 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법제화를 위한 입법, 이 대통령의 공약인 서민금융안정기금 설치 등도 속도를 내야 한다. 금융위가 이미 추진해오던 제4 인터넷전문은행 출범도 당초 일정보다 지연되고 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