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이노스페이스 등 민간 주도 위성 개발·발사 서비스·위치항법 공동 연구 활발

지난 24일(현지시각) 세컨드 라인 어브 디펜스(Second Line of Defense) 보도에 따르면 두 나라는 초기 제한적 교류를 넘어, 국가 간 협약과 민간기업 참여를 바탕으로 공동 연구·개발과 발사 인프라 구축, 국방 협력까지 다방면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 안보 불안 커지는 인도·태평양서 ‘중견 우주 강국’ 협력 강화
최근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과 중국의 우주 역량 확대가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긴장을 높이면서, 한국과 호주는 ‘신흥 우주 강국’으로 평가받는다. 한국은 전쟁 시 신속하게 위성 감시 자산을 가동하는 능력이 중요하고, 호주는 광대한 해양을 감시하며 우주 주권을 확보하려 한다.
호주는 적도 가까이 위치해 연료 절감 효과가 뛰어난 우주 발사장 여건을 갖췄으며, 인구 밀도가 낮아 발사 안전성도 높다. 한국은 지리적 제약을 보완하며 종합적 우주 능력을 키우기 위해 호주와 협력을 늘리고 있다.
◇ 한화·이노스페이스 등 민간 주도 협력 주목
지난해 9월, 한화디펜스호주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 길모어 스페이스 테크놀로지는 항공우주 및 방산 분야 협력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이 협약에는 공동 연구·개발과 통합 발사 기술 개발, 한국 위성의 호주 발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국 이노스페이스는 호주 북부 아넘(Arnhem) 우주센터 운영업체와 다년 계약을 맺고 올해 초부터 궤도발사를 시작한다. 호주가 인도·태평양에서 중요 발사 거점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두 나라 우주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 지구 관측, 로봇, 우주 제조 부문에서 협약을 맺고 2022년부터 정책 대화를 지속하며 제도적 협력을 강화했다.
◇ 소형 위성·위치추적 시스템 공동 개발과 인프라 연계
한국과 호주는 100kg 이하 소형 위성 공동 개발에 큰 힘을 쏟고 있다. 호주 전략 정책 연구소(ASPI)와 한국 방위사업청 연구 결과, 소형 위성은 신속한 배치와 분산으로 군사·민간 용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은 북한 감시에, 호주는 환경 모니터링과 재난 대응에 집중한다. 공동 위성 군집망 구축 시 데이터 공유와 정보 통합으로 양국의 주권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추진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과 위성 보정 시스템(KASS)은 호주에 있는 지상 기지국과 연결해 지역 위성 위치추적의 정확도를 높이려는 계획이다. 이것은 일본의 '준천정위성시스템(QZSS)'처럼 각 나라들이 서로 협력해 한 지역에서 위성 신호의 위치 정보를 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더 나아가 호주와 뉴질랜드가 함께 운영하는 ‘남방항법보강망(SouthPAN)’이 있는데, 한국의 시스템과 연결되면 이 지역에서 사용하는 위성 위치추적 서비스가 더욱 정밀해지고, 장애물이 있거나 간섭이 생겨도 내성이 강해진다. 즉, 이런 협력이 지역의 위성 위치 서비스 품질을 한 단계 높이고 서로 보완하는 관계가 된다.
◇ 우주 안전 감시·발사 거점 조성 확대
◇ ‘중견 우주 동맹’ 모델로 주목받아
호주와 한국의 이번 협력은 기술 개발을 넘어, 안보와 경제 협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새로운 중견국 협력 모델로 인식된다. 기사 원문은 “두 나라의 다층적 파트너십은 다극화 시대에 지역 안정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