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정부 비트코인 보유액 ‘20조원대’ 그쳐…추가 매입 보류에 5% 급락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 규모가 시장 추정치보다 크게 적다는 사실이 공개되면서 가격이 급락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의 “추가 매입은 없다”는 발언까지 겹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16일(이하 현지시각) 포브스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전날 폭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현재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시가 기준 150억~200억 달러(약 20조~27조 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조사업체 아컴 인텔리전스 등이 추산한 230억 달러(약 31조 원)보다 크게 적은 규모다.

베선트 장관은 이어 “정부가 시장에서 새로 비트코인을 매입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전략 비축은 압수·몰수된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매각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이 발언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약 5% 하락하며 11만7431달러(약 1억5800만원)까지 밀렸다. 불과 며칠 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비트코인이 보유량 논란에 급락한 것이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도 1000억 달러(약 134조5000억 원) 이상 증발했다.

베선트는 이후 소셜미디어 X에 올린 글에서 “재무부는 예산에 부담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추가 비트코인 매입을 검토 중”이라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전략 비축 확대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3월 행정명령을 통해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공식화하며 “미국을 세계 최대 비트코인 보유국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확보 방식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백악관 디지털자산 자문위원 보 하인스가 관련 보고서를 내놓은 직후 사임하는 등 정책 추진 동력도 약화된 상태다.

시장은 다음달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도 주목하고 있다. 베선트는 “현재 금리는 지나치게 긴축적”이라며 “9월에 0.5%포인트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실제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경우 위험자산 선호가 되살아나 비트코인 가격 반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