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안 협상에서 지지부진한 현황을 보이고 있는 일본을 향해 강경한 내용을 담은 서한을 보낼 가능성을 보이면서 일본 측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각)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대해 얼마나 부당하게 하는 지를 보여주려 한다"면서 "나는 일본을 매우 존중한다. 하지만 그들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적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다시 말해 우리는 그들(일본)에게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밝힌 뒤 "우리는 그들을 앞으로 오랜 기간 무역 파트너로 삼고 싶어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의 구체적인 내용은 거론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쌀 시장 개방 요구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상호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기 위한 서한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현지시간)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고, 그 유예 기간은 오는 7월 8일 끝난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기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의제로 삼아 무역협상을 진행해왔는데, 최근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7월8일)를 앞두고 협상에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 나라에는 일방적으로 설정한 상호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할 것이라며 경고해왔다.
이에 대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대해 질문을 받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답했다.
이어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들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것이며, 그는 이번 주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역팀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