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G7, 무역 갈등 피해가며 “세계 경제 불균형 해소” 강조…러 제재 확대 시사

지난 21일(현지 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첫 세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이 자리에 앉아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1일(현지 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첫 세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이 자리에 앉아 있다. 사진=로이터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미국의 관세 문제를 피한 채 세계 경제의 ‘과도한 불균형’ 해소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회의에선 러시아 제재 강화 가능성도 함께 언급됐다.
23일(이하 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앨버타주 밴프에서 전날 열린 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3일간 논의 끝에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성명은 기후변화 대응 언급이 빠지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표현도 완화된 내용으로 정리됐다.

프랑수아-필립 샴페인 캐나다 재무부 장관은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세계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이뤘다”면서 “G7이 하나의 의지와 행동으로 단결하고 있다는 명확한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G7은 이날 성명에서 “비시장적 정책과 관행이 국제 경제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공동의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표현은 중국의 국영 보조금과 수출주도형 경제 모델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되지만 성명에서는 중국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회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고율 관세 문제도 논의됐지만 공동성명에서는 별도로 언급되지 않았다. 샴페인 장관은 이에 대해 “관세 문제를 피해간 것은 아니다”라며 “성장과 안정 강화를 위해 반드시 논의해야 하는 주제”라고 설명했다. 캐나다는 철강·알루미늄 등 제품에 부과된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를 철폐하기 위한 협상을 추진 중이다.

다음 달 15~17일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이날 발표된 공동성명은 “공정한 경쟁 환경과 국제 공급망 복원력 확보가 중요하다”며 시장 독점과 세관 회피에 이용되는 소형 국제 택배 증가 문제도 함께 지적했다. 성명은 “800달러(약 110만원) 이하의 면세 소포가 밀수나 마약 유입의 통로가 되고 있다”며 쉬인·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를 간접적으로 겨냥했다.

우크라이나 관련 언급도 기존보다 표현 수위가 낮아졌다. G7은 러시아의 행동을 “계속되는 잔혹한 전쟁”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지난 10월 트럼프 대통령 재선 이전 성명에서 사용한 “불법적이며 부당하고 도발되지 않은 침략 전쟁”이라는 표현은 빠졌다.
이에 대해 샴페인 장관은 “우크라이나 재건 과정에서 러시아 전쟁 자금을 댄 국가는 그 혜택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 중요한 의미”라며 “이것이 성명의 핵심축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성명은 특정 국가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중국이 러시아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는 서방의 의심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G7은 러시아의 전쟁 종식과 피해 보상을 조건으로 자국 내 러시아 국부 자산을 계속 동결할 것이라는 방침도 유지했다.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선도 논의됐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은 “러시아 원유가 현재 60달러(약 8만3000원) 이하로 거래되고 있다”며 상한선 하향 조정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이 이에 반대 입장을 보이면서 성명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브렌트유 가격은 약 64달러(약 8만8000원) 수준이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2월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G20 회의에 불참했던 것과 달리 이번 회의에는 모습을 드러냈다. G7 관계자들은 “초반에는 다소 딱딱했지만 나중엔 만찬 자리에서 농담도 오갈 만큼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면서 “동맹 간 대화다운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