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살림살이 개선 인식과 물가 상승 둔화로 경제 불안 줄어

뉴스위크는 지난 17일(현지시각) 보도에서, 공화당 색채의 여론조사기관 RMG 리서치가 지난 5월 7일부터 15일까지 등록 유권자 3,000명에게 물은 최신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52%, 반대율은 48%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광복절 관세를 도입한 뒤 가장 높은 순 지지율인 4%포인트를 기록한 것이다. 이번 여론조사의 오차 범위는 ±1.8%포인트였다.
이는 5월 첫째 주 RMG 리서치의 이전 조사에서 나타난 찬성 49%, 반대 49%에서 올라간 수치다. 또한, 4월 말에 한 여론조사에서 기록한 지지율 49%, 반대 48%와 비교해도 3%포인트 높아졌다.
지난 몇 주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광복절 관세 영향에 따른 경제 불안감으로 내려갔으며, 주식 시장도 잠시 급락했다가 며칠 뒤 회복했다. 그러나 경제 불안으로 급격히 떨어진 뒤 지지율이 회복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기반을 안정시키고 정치 주도권을 되찾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스위크 추적 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47%가 지지하고 50%가 반대하는데, 이는 지난주 지지율 44%, 반대율 50%에서 나아진 수치다.
로이터/입소스가 5월 12일부터 13일까지 한 조사에서는 44%가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지지했으며, 이는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한 이전 조사보다 2%포인트 올라간 결과다.
TIPP 인사이트가 4월 30일부터 5월 2일까지 성인 1,400명에게 물은 최신 여론조사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비율(42%)과 반대하는 비율(47%) 사이의 차이인 순 지지율이 -5%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4월 초 -7%포인트였던 것보다 2%포인트 개선된 수치다.
◇ 경제 지표 개선과 중국과의 관세 합의가 지지율 상승 요인
일부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 분야에서 좋은 신호를 보이고 있다. 로이터/입소스 조사에 따르면, 경제 문제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39%로 이전 조사의 36%에서 올라갔다.
경제 불안도 많이 줄었지만, 여전히 남아있다. 같은 조사에서 응답자의 69%가 경기 침체를 걱정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이전 조사의 76%에서 내려간 수치다. 또한, 주식시장 불안정을 걱정하는 비율도 67%에서 60%로 줄었다.
나폴리탄 뉴스가 5월 12일부터 13일까지 등록 유권자 1,000명에게 물은 조사에 따르면, 31% 유권자가 현재 개인 살림살이가 나아지고 있다고 답했는데, 이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개인 살림살이가 나빠지고 있다고 답한 비율도 31%로 같았다.
이는 2주 전 조사에서 25%가 살림살이 개선, 36%가 나빠지고 있다고 답한 것과 비교해 많이 나아진 결과다. 또한, 지난해 말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 41%가 살림살이 악화, 25%가 개선되고 있다고 답했던 것과 비교하면 상황이 뒤집힌 것이다.
이런 결과는 노동부가 4월 물가 상승 둔화를 알린 뒤 나타났으며, 중국과 미국이 이번 주 90일간 서로 관세를 115%포인트 낮추기로 합의한 것이 주식 시장에 바로 좋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더 큰 흐름은 여전히 회복보다 침체에 가깝다는 분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월 중순 이후 크게 나아지지 않았지만, 더 나빠지지도 않았다. 유고브(YouGov)가 5월 6일부터 8일까지 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2%로 전주와 같았고, 반대 의견은 52%에서 50%로 조금 내려갔다.
리얼클리어폴리틱스(RealClearPolitics) 추적 조사에 따르면 2017년 5월 17일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0%, 반대율은 55%였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40%)과 반대율(55%) 간 차이인 순 지지율은 -15%포인트였다. 이는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순 지지율인 -3%포인트(지지 47%, 반대 50%)보다 훨씬 낮은 수치로, 첫 임기 때보다 현재 대통령의 인기가 더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한편 뉴스위크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 흐름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협상, 관세 정책 변화, 경기 침체 우려 등 주요 이슈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따라 앞으로 몇 주간 바뀔 수 있다고 전문가들의 견해를 소개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