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중국 업체들, 트럼프의 145% 관세 피하려 '원산지 세탁' 급증

한국 관세청, 지난 1분기 원산지 위조 제품 295억 원 적발...대부분 미국행 중국산
2025년 5월 2일 중국 홍콩의 새로운 미국 세관 규정으로 인해 홍콩 우편이 4월 27일부터 특정 미국행 배송을 중단함에 따라 소포가 우체국에서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5년 5월 2일 중국 홍콩의 새로운 미국 세관 규정으로 인해 홍콩 우편이 4월 27일부터 특정 미국행 배송을 중단함에 따라 소포가 우체국에서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업체들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매긴 최대 145%의 높은 관세를 피하려고 제3국을 통한 '원산지 세탁' 행위를 크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우리를 비롯한 아시아 각국이 경계를 강화하고 나섰다는 소식이다.
지난 4(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중국 소셜미디어에는 "원산지 세척" 서비스 광고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 제품에 관세를 매겼다고? 말레이시아를 거쳐 동남아시아 제품으로 '변신'하자!"라는 광고가 샤오홍슈(Xiaohongshu) 등 플랫폼에 넘쳐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중산시에 있는 수출업체 바이타이 라이팅의 영업사원 사라 오우는 "관세가 너무 높다"면서도 "우리는 그 제품을 이웃 나라들에 팔 수 있고, 그 이웃 나라들이 그것을 미국에 팔면 관세가 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무역법상 물건이 특정 나라에서 "상당한 변형"을 거쳐야 해당 나라 제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중국 물류업체들은 이를 우회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두 물류회사 영업사원은 "말레이시아 포트 클랑으로 제품을 보낸 뒤 현지 컨테이너로 옮기고 꼬리표와 포장을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아시아 각국, 중국 제품 우회 수출 단속 강화


이러한 원산지 세탁 행위가 급증하자 아시아 각국은 검사를 강화했다. 한국 관세청은 지난달 올해 1분기에 위조된 원산지에서 약 295억 원(2100만 달러) 상당의 외국 제품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이들 대부분은 중국에서 만들어졌으며 거의 모두 미국으로 향하고 있었다.

한국 관세청은 "미국 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로 우리나라가 다른 관세와 제한을 피하려는 제품의 우회로로 쓰이는 사례가 최근 크게 늘고 있다""중국 제품의 원산지가 한국으로 위조된 많은 사례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베트남 산업통상부도 지난달 현지 무역협회와 수출업체, 제조업체에 원자재와 투입품의 원산지 검사를 강화하고 위조 증명서 발급을 막을 것을 촉구했다. 태국 대외무역부 역시 지난달 관세 회피를 막기 위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원산지 검사를 강화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 기업들은 "본선인도(FOB)" 방식으로 제품을 보내 법적 위험을 줄이고 있다. 바이타이의 오우 영업사원은 "고객들은 광저우나 선전에서 항구만 찾으면 되고, 제품이 그곳으로 가면 우리는 할 일을 마친 것"이라면서 "그 뒤는 우리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경 간 무역 컨설팅 전문가는 원산지 세탁이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를 피하려고 쓰는 두 가지 주요 방법 중 하나라고 전했다. 다른 하나는 비싼 물건과 싼 물건을 섞어 수출업자가 전체 선적 비용을 낮게 주장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라고 이 전문가는 설명했다.

중국 둥관에 있는 소비재 제조업체 소유주는 "두 개의 국내 산업 협회가 '회색 지대' 관세 차선책을 내놓는 중개인에게 우리 회사를 소개했다"면서 "중개인이 보내는 짐 킬로그램당 5위안(972)에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한편 아마존 상위 10대 독립 판매자의 한 고위 임원은 "원산지를 바꾼 제품이 미국 세관에 적발된 사례를 목격했다"면서 "중국 업체들이 가격을 속여 신고할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FT는 중국 공장들이 원산지 세탁만으로는 높은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 생산량을 줄이고 직원들을 해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