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중국 비트코인 채굴금지령 해제 "가상화폐 규제 전면재검토" .

시진핑-트럼프 관세폭탄 정면돌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로이터
중국 정부 당국이 중국내 비트코인 채굴금지령 해제를 본격 검토하고 나섰다고 베이징 소식에 정통한 홍콩의 언론들이 보도했다. 가상화폐 준비금 비축도 논의되고 있다. 시진핑-트럼프 관세폭탄 정면돌파을 휘한 정상회담도 거론된다.
8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자국 내 채굴 금지를 재검토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며, 중국의 암호화폐 정책 변화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2021년 이후 공식적으로 모든 암호화폐 채굴과 거래를 금지했다. 중국은 ASIC 채굴 장비의 주요 수출국이기도 하며, 미국의 채굴 산업이 장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기술적·지리적 우위를 여전히 확보하고 있다.

중국의 암호화폐 활성화 전략은 비트코인 채굴 재개를 넘어 디지털 위안화(e-CNY)를 중심으로 디지털 자산 영역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탈달러화(de-dollarization) 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일부 에너지 거래에서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 대법원은 암호화폐의 법적 지위와 규제 프레임워크를 재검토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단속 과정에서 압류한 비트코인을 160억~190억 달러 상당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전략적 준비금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만약 실제로 준비금으로 편입된다면, 비트코인 가격에 강력한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새로운 촉매가 될 전망이다. 트코인(BTC)이 다시 상승 모멘텀을 얻고 있는 가운데, 중국발 새로운 추세와 잠재적 촉매가 주목받고 있다. 소비 촉진 정책과 암호화폐 규제 변화 가능성이 비트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지금 당장 비트코인에 무리하게 투자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장기적 관점에서 달러 코스트 에버리징(DCA) 전략을 활용해 비중을 소폭 늘리는 것은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향후 5년간 중국발 정책 변화가 현실화될 경우 비트코인에 대규모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에서는 홍콩을 통한 비공식 비트코인 매수 활동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중국 본토 소비자들의 암암리 매수 수요가 이미 비트코인 가격에 일정 부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만약 합법화가 이뤄질 경우 그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최근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경제 정책을 전환하고 있다. 이는 개인들의 가처분 소득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자금이 비트코인 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추세적 뒷바람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 달러 약세와 함께 금과 비트코인 가격은 모두 상승하고 있다. 분석가 마이크 자카르디는 "미국 달러가 1962년 이후 최악의 연초 성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하드자산 선호 현상과 맞물려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헤지 및 비상관 자산으로 재평가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메르크 인베스트먼트 설립자 악셀 메르크는 외국 중앙은행들이 달러와 미 국채를 줄이고 금을 매입하는 흐름을 강조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순유입은 투자자들이 금 대신 비트코인으로 자산을 분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경우 BTC 가격은 102,500달러까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100,000달러를 돌파하면 사상 최고가 경신도 노려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