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중앙은행(ECB)이 17일(현지시각)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통화정책이사회를 열어 예금금리를 연 2.50%에서 2.25%로, 기준금리를 연 2.65%에서 2.40%로 각각 내렸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계대출금리도 연 2.90%에서 2.65%로 내렸다.
이에 따라 ECB 통화정책 기준인 예금금리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4.25∼4.50%)의 격차는 2.00∼2.25%포인트로 벌어졌다. 같은 날 동결된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와는 0.50%포인트 차이다.
ECB는 지난해 6월 통화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지난해 9월부터 이날까지 6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예금금리는 지난해 6월 4.00%에서 10개월 만에 1.75%포인트 떨어졌다.
지난달 회의 당시 ECB는 통화정책이 유의미하게 덜 제약적으로 되고 있다며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본격화되자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제가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정책금리를 재차 인하한 것으로 분석된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 자료를 통해 "무역긴장 고조로 유로존 성장 전망이 악화했다"며 "증가하는 불확실성이 가계와 기업의 심리를 위축시키고, 무역긴장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 반응과 변동성은 금융 여건을 긴축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경제성장에 하방 위험이 커졌다"며 관세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수출을 위축해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에너지 가격 하락과 유로화 강세가 인플레이션을 낮출 가능성이 큰 반면 글로벌 공급망 혼란과 유럽 각국의 국방·인프라 지출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ECB는 앞서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서로 25%의 관세를 매기면 유로존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도이체방크는 "상호관세와 불확실성, 금융환경으로 인한 경제성장 타격은 ECB 예상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날 금리 인하 결정에 따라 예금금리는 ECB가 추정하는 중립금리 영역 1.75∼2.25%의 상단에 도달했다.
중립금리는 경제성장을 자극하지도 둔화시키지도 않는 금리 수준으로, ECB는 이날 통화정책 자료에서 '제약적'이라는 단어를 삭제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 설문에서 전문가들은 ECB가 오는 6월 예금금리를 한 차례 더 내린 뒤 내년 연말까지 2.00%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시장은 ECB 예금금리가 올해 연말 1.68%까지 인하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상태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