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스뉴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고율 관세를 90일간 유예했지만 기업과 소비자들은 이미 그 여파를 체감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폭스뉴스에 따르면 현재 관세 할증은 의류부터 자동차 부품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고정 금액을 부과하거나 총 구매 금액의 일정 비율로 책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무역 갈등 속에서 부과한 관세로 인해 제조원가가 상승하자, 기업들이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부담을 줄이고 있는 셈이다.
성인용품 제조업체 ‘데임’의 알렉산드라 파인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우리는 제품에 5달러의 ‘트럼프 관세 할증’을 추가했다”며 “전체 비용을 충당하진 못하지만 소비자에게 정책의 영향을 알리고 싶었다”고 밝혔다. 데임은 중국에서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145%에 달하는 고율의 수입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아마존의 앤디 재시 CEO도 CNBC에 출연한 자리에서 “제조업체들이 관세 비용을 더 이상 감내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의 전체 판매량 중 약 60%는 제3자 판매업체에 의해 이뤄지며 이 중 상당수가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현상은 결혼식 드레스 업계에서도 감지된다. 미국 뉴저지의 ‘잔스 부티크’ 공동대표인 폴 비릴리는 CBS뉴스에 “드레스 가격이 올라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되고 있다”며 “미중 관계가 원만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세 협상에 낙관적인 입장”이라며 “중국이 미국과의 거래를 원한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대하게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 중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