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취임 3개월만에 지지율 '역전'...취임 후 54%→47%로 7%p 하락

관세 정책 논란 속 경제 불안 확산...경제 관리 지지율 50%→44%로 급락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과 중국이 보복 관세를 이어가며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이 취임 약 3개월 만에 급격히 하락하며 20254월 초 처음으로 '지지'보다 '반대' 여론이 우세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위크는 12(현지시간) 최근 실시된 일련의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며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 하락이 본격화되는 상황을 조명했다. 이 매체는 "한때 충성스러운 지지기반과 초기 모멘텀에 힘입어 안정적이었던 트럼프의 수치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 속에서 타격을 입었다"고 전했다.

콴터스 인사이트(Quantus Insights)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154%의 높은 지지율로 출발했으나, 7일부터 9일까지 1000명의 등록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조사에서는 지지 47%, 반대 50%로 역전됐다. 이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3.5%포인트다.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 중 퀀터스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반대율보다 낮아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대통령의 '허니문 기간'이 종료됐음을 시사한다.
특히 여러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도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해리스X의 최신 여론조사(4~7)에서는 반대 49%, 찬성 47%로 순 지지율이 -2를 기록했다. 이는 2월 찬성 52%, 반대 43%로 순 지지율 +9%에서 크게 하락한 수치다.

YouGov/이코노미스트 여론조사 역시 2월 초 +3이었던 순 지지율이 최근 -7로 급락했다. 민주당 성향의 네비게이터는 3-2에서 -9, 모닝 컨설트는 -3에서 -6으로 각각 하락했다.

"관세 정책 논란이 직격탄"... 경제정책 지지율 급락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최근 발표한 '광복절' 관세 정책이 지목되고 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와 함께 '불공정 무역 관행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즉각 금융시장을 동요시켰고, 트럼프 대통령은 발효 몇 시간 만에 대부분의 상호 관세를 90일간 중단한다고 깜짝 발표했다. 그러나 10% 기본 관세는 유지됐고, 중국과의 관세 전쟁은 격화돼 미국은 중국에 총 145%를, 중국은 미국에 125%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으로 확대됐다.

해리스X의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의 경제 관리에 대한 지지율은 32150%에서 최근 44%로 하락했고, 인플레이션 대응에 대한 지지도 48%에서 43%로 떨어졌다.

또한 경제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답한 유권자가 2주 전 48%에서 54%로 증가했고, 경제가 취약하다고 답한 응답자도 58%에서 66%로 늘었다. 재정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고 답한 유권자도 31%에서 38%로 증가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niversity College London)의 정치학 부교수이자 미국 정치 센터 소장인 토마스 기프트(Thomas Gift)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관세 상황에 대한 대처로 많은 지지자를 얻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기프트 교수는 "유권자들을 짜증나게 하는 것은 정책뿐만 아니라 명백한 전략 부족, 충동적인 의사 결정, 백악관의 일관성 없는 메시지다. 트럼프는 오랫동안 딜메이커의 대가이자 수완 있는 사업가라는 브랜드를 구축해왔으나, 지난 며칠 동안 그 이미지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고 평가했다.

기프트 교수는 "트럼프가 경제적 지지율을 되살리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에게 깊은 구덩이를 파고 있다""이를 위해서는 계획뿐만 아니라 상당한 운이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리스X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72%는 새로운 관세가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상품 가격을 인상시킬 것이라 우려했고, 71%는 단기적 경기 침체를 예상했다. 이 조사의 오차범위는 ±2%포인트였다.

5일부터 8일까지 등록 유권자 1,5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YouGov/이코노미스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5%가 관세 정책이 개인 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고, 53%는 미국 경제 전체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미국인의 80%는 관세가 소비자 물가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 중 47%는 상당한 인상을, 33%는 완만한 인상을 전망했다. 이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3%포인트였다.

퀀터스 여론조사에서는 트럼프의 경제 정책에 대해 45%가 찬성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3월의 47%에서 하락한 수치다. 51%가 반대한다고 답했으며, 이는 3월의 50%에서 소폭 증가했다.

"정책 안정성이 관건"... 대통령 인기 회복 여부 주목


여론조사 결과들을 종합하면,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취임 직후 높았던 '허니문 기간'을 지나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경제 정책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콴터스 인사이트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의 지지율은 1월 말 57%에 달했다가 4월 초에는 44%까지 하락했다. 이는 취임 후 약 3개월 만에 13%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같은 기간 반대율은 40%에서 50%로 상승했다.

뉴스위크의 트래커에 따르면 4월 초 트럼프의 순 지지율은 -5%포인트를 기록했는데, 이는 41일의 -2%포인트에서 더 하락한 것이다.

관세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콴터스 여론조사에서는 미국인의 51%가 상호 관세 정책 자체에 대해서는 지지 의사를 보였다. 그러나 이 정책의 실행 과정과 일관성 없는 메시지가 대통령의 이미지에 타격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율 회복을 위해서는 경제 정책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것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특히 인플레이션과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관세 정책의 구체적인 효과와 경제적 영향에 대한 설득력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