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아이폰 가격 인상 임박…트럼프發 대중국 관세 여파에 소비자 ‘비상’

지난 2018년 9월 21일 일본 도쿄 오모테산도 쇼핑가의 애플스토어에서 직원이 방문객을 맞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8년 9월 21일 일본 도쿄 오모테산도 쇼핑가의 애플스토어에서 직원이 방문객을 맞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애플 아이폰을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 가격이 조만간 대폭 인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CNN은 애플이 주력 생산기지인 중국에서 부품과 제품을 들여오는 구조인 상황에서 이같은 조치의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고 10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를 유지하면서 사실상 추가 제재에 나섰다. 이에 따라 아이폰 가격은 향후 수주 내지 수개월 안에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라고 CNN은 전했다.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의 스마트폰 담당 애널리스트 잭 리덤은 “애플은 일정 기간 고통을 겪어야 할 것이며, 이는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애플 아이폰의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지 공장에서 조달한 제품에 대한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 내 소비자 가격도 함께 오를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1199달러(약 174만원) 수준인 아이폰16 프로 맥스 기본 모델은 현재 중국에서 조립되고 있는데 스위스계 투자은행 UBS는 관세 적용 시 이 제품의 가격이 최대 675달러(약 98만원), 즉 56% 이상 인상될 수 있다고 추산했다.

인도에서 조립되는 모델도 120달러(약 17만원) 가량 오를 것으로 UBS는 내다봤다. 이 수치는 관세율 인상 전의 추정치로 실제 인상폭은 더 커질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의 그룹 부사장 라이언 리스는 “재고가 소진되면 애플을 포함한 모든 제조사의 스마트폰 가격이 일제히 인상될 것”이라며 “애플의 미국 내 아이폰 재고는 3주에서 길게는 2~3개월치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역시 4.5~6주치 재고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2월 자료를 보면 예외적으로 많은 물량이 반입된 정황도 있다”고 설명했다.
가격 인상이 본격화되면 통신사들이 이전 세대 모델에 대한 할인 판매에 나서거나 24~36개월 장기 할부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부담을 일부 분산시킬 가능성도 제기된다. 소비자정보조사업체 CIRP에 따르면 미국 내 휴대폰 구매자의 55%가 이같은 할부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애플의 공급망 재편도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애플은 최근 몇 년간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와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인도산 아이폰의 미국 수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와 타임즈오브인디아가 보도했다.

캐롤라인 리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아이폰 생산을 미국으로 이전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부품 수급 문제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미국 내 생산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윌리 시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교수는 “미국에서 아이폰을 조립하면 노동비 상승 등으로 인해 비용이 최소 20%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대규모 생산을 감당할 인력도 부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산 아이폰 가격이 최대 3500달러(약 509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애플은 지난 2월 미국 내 서버 생산시설과 디트로이트 지역 중소기업 교육 아카데미 설립 등을 포함해 총 5000억달러(약 727조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지만 아이폰 공장은 계획에 포함돼 있지 않다.

애플이 신제품 출시 시점을 조정하는 등 가격 인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을 취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리스는 “과거 2020년 팬데믹 당시처럼 일시적으로 발표 일정을 미루는 등의 조정이 가능하다”며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올라온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