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47 전투기 등 핵심 무기 생산 차질 불가피...美, 자체 공급망 구축 서둘러

뉴스위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최대 145%까지 인상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은 미국 방위산업에 핵심 원료인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로 맞대응에 나섰다고 지난 11일(현지시각) 이 이슈를 심층적으로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4월 3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수출품에 5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미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보복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희토류 원소 생산량은 총 39만 톤으로, 중국이 전체의 60~70%를 차지해 압도적인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약 10~15%), 미얀마(약 8~10%), 나이지리아(약 5%), 브라질(약 2~3%)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중국의 핵심 희토류 및 희토류 수출 통제는 미국 국가 안보, 방위 제조업, 첨단 기술 산업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SFA-옥스퍼드 컨설팅의 제이미 언더우드는 지난 4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콜로라도 광산 대학의 톰 브래디 교수는 "중국의 희토류 억제는 미국을 황폐화시킬 수 있는 무기임이 분명하다"고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경고했다. 특히 "디스프로슘은 고온 자석에 사용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제트 엔진과 같은 장비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도 자기 품질을 유지하는 고온 자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희토류, F-47부터 전기차까지 '필수 재료'... 미국 자급 체제 구축 시급
보잉과의 계약 후 트럼프 대통령이 선전하고 있는 F-22 랩터의 후계자 F-47 전투기를 포함한 차세대 공중 우위(NGAD) 프로그램은 중국이 생산하는 희토류 재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 희토류에는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7가지 범주의 重희토류가 포함된다.
이트륨은 고온 제트 엔진 코팅, 고주파 레이더 시스템, 정밀 레이저에 필수적이며, 터빈 블레이드의 열 차단 코팅을 통해 항공기 엔진이 비행 중에 녹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광물들은 고성능 자석과 액추에이터뿐만 아니라, 티타늄, 텅스텐, 니오븀 같은 금속도 구조적 강도, 내열성, 스텔스 코팅에 필수적이다.
희토류는 방위산업을 넘어 컴퓨터 칩과 전기자동차 생산에도 필수적이다. 중국의 이번 조치는 중국이 발급하는 수출 허가증을 제한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심각한 공급망 충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은 과거에도 2010년 센카쿠 열도 분쟁 이후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중단했으며, 지난해 7월에는 갈륨과 게르마늄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갈륨은 방위 및 소비자 가전, 첨단 레이더, 통신 시스템, 인공지능(AI), 위성 및 우주 기술용 반도체에 핵심 소재다.
US 크리티컬 머티어리얼즈의 하비 케이 전무이사는 "갑자기 중요한 광물, 희토류가 지정학적 무기가 되었고, 그것은 심각하다"고 뉴스위크에 말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이 핵심 광물 개발과 가공에 대한 행진을 훔치도록 허용한 대가를 오늘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백악관은 핵심 광물에 대한 관세를 면제했으나, 중국의 수출 제한으로 인해 미국 내 희토류 생산 확대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20일 국가에너지지배위원회와 협력하여 미국의 광물 생산을 늘리고, 허가를 간소화하며 국가 안보를 강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명령에 따르면 국방물자생산법은 국내 광물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데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케이 전무이사는 "우리 회사는 2026년 1분기까지 미국에서 생산한 고순도 희토류와 갈륨을 정부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의 회사가 관여하고 있는 쉽 크릭 부지는 미국 내에서 측정된 갈륨 등급이 180~385ppm으로, 중국에서 수입해온 50ppm을 훨씬 웃도는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브래디 교수는 "어떤 종류의 진지한 투자자가 이만큼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그것을 위해 큰 돈을 투자할 것인가"라며 현 정책의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차기에 만약 민주당 행정부가 들어섰을 때 폐지될 수 있는 행정명령으로는 장기적 투자를 끌어들이기 어렵다"며 의회를 통한 입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전등 스위치와 같지 않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데 몇 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