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중국 선박 항만 제재 '숨고르기'...수수료 완화 움직임

해운업계, 트럼프 행정부발 무역 정책 변화 촉각
한·미 조선업계 협력 논의도 '변수' 작용할까
미국이 중국 발(發) 선적 화물 운송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을 완화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해운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미국이 대중국 압박 수위를 조절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코스코해운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이 중국 발(發) 선적 화물 운송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을 완화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해운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미국이 대중국 압박 수위를 조절하는 가운데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코스코해운
미국이 중국 발() 선적 화물 운송 선박에 대한 항만 수수료 부과 계획을 완화할 가능성을 내비쳐 해운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9(현지시각) 해운 전문 매체 스플래시247에 따르면, 제이미슨 그리어(Jamieson Greer)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상원 금융위원회에 출석, 중국 선박 연계 기업에 미국 항만 입항 시 추가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에 대한 공청회에서 접수된 업계의 광범위한 우려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무역 기구는 중국 조선업 관행 조사 후 미국 조선소 재건을 목표로 중국 연계 선박에 미국 항만 입항당 최대 350만 달러(509075만 원)에 달하는 세 가지 잠재적 수수료 부과를 권고한 바 있다. 이는 지난달 공청회에서 해운업계를 중심으로 400건에 가까운 부정적 반응을 야기했다.

그리어 대표는 이와 관련해 "제안된 수수료가 모두 시행되거나 중첩되어 부과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예고된 관세 부과, 국제해사기구 탈퇴, 파나마 운하에 대한 권리 주장 등 굵직한 현안에 직면한 해운업계 부담을 다소나마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연계 선박에 대한 미국의 구체적인 항만 수수료 부과 방안은 이달 말께 공개될 전망이다.

한편, 중국 연계 선박에 대한 미국의 수수료 인상 논의는 이미 지난달부터 신조선 및 중고선 시장에서 선박 구매 선호도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

◇ 한·미 조선업계, 협력 모색 움직임 포착


이와 함께 미국의 대표적인 군함 제조업체인 헌팅턴 잉걸스 산업(HII)과 한국의 HD현대중공업(HHI)은 이번 주 방위 및 상업 조선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조선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HHI의 경쟁사인 한화오션은 지난해 필리 조선소를 인수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미국에 자산을 보유한 호주 오스탈의 지분 9.9%를 확보하기도 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조선 부문에서 미국과의 잠재적 협력이 미국의 관세에 대한 협상에서 "매우 중요한 카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