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미국 국채금리, 6% 위험수위 근접…금융시장 불안

지속되는 재정 적자와 트럼프 감세 정책 겹쳐 시장 우려 확산
새로 발행한 미국 1달러 지폐의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새로 발행한 미국 1달러 지폐의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의 재정적자 확대와 국채금리 상승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 새로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정책이 재정건전성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고 24일(현지 시각) 배런스가 보도했다.

TS 롬바드의 스티븐 블리츠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2025년 1월 18일 투자보고서에서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2000년대 중반 이후 처음으로 6%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밝혔다. 블리츠 이코노미스트는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현재 4.25~4.5%에서 2년 내 5~5.25%로 인상하면 회사채 수익률은 7%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 의회예산국(CBO)이 2025년 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재정적자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025년 6.2%에서 2027년 5.2%로 감소했다가 2033년 6.1%로 다시 증가할 전망이다. CBO는 "대공황 이후 이런 수준의 재정적자는 제2차 세계대전과 2007~2009년 금융위기,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2024 회계연도 미국 연방정부 지출은 6조 7500억 달러를 기록했다. CBO 자료를 보면 이 중 60%가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 사회보장에 사용됐고, 국가부채 이자와 국방비가 각각 13%를 차지했다. 미국의 총 정부 부채는 36조 달러로 GDP 규모를 초과했다.

BCA리서치의 마틴 반스 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25년 1월 18일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채권 투자자들이 미국 정부에 더 높은 리스크 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다"며 "총 정부부채가 GDP의 120%를 넘어선 것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BTIG 워싱턴의 아이작 볼탄스키 애널리스트는 2025년 1월 19일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정책으로 향후 10년간 정부부채가 4조 달러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2025년 1월 22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GDP 대비 재정적자 3% 감축, 연간 실질경제성장률 3% 달성, 국내 원유 생산량 일일 300만 배럴 증대'를 골자로 하는 '3-3-3'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BTIG 워싱턴의 볼탄스키 애널리스트는 같은 날 CNBC와 인터뷰에서 “워싱턴에서 재정적자 감축은 가장 실현 가능성이 낮은 정책"이라고 말했다.

BofA 글로벌 리서치의 마이클 하트넷 수석 투자전략가는 2025년 1월 17일 투자보고서에서 "채권과 달러화에 대한 국제 투자자들의 신뢰도 하락이 최대 위험 요인"이라며 "금리 상승이 주식시장 하락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