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정책 주시하는 중국, 위안화 약세 방어 위해 금리 동결

1년 만기 LPR 3.1%, 5년 만기 LPR 3.6% 유지
美 금리 인하 등 외부 요인 고려하며 신중한 행보
경기 부양 vs. 위안화 방어, 딜레마에 빠진 중국
중국 공안들이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국인민은행(PBOC) 본부 앞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공안들이 중국 베이징에 있는 중국인민은행(PBOC) 본부 앞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19일(현지시간) 기준 대출 금리를 동결했다.

중국의 기준 대출 금리 동결은 미국의 새 행정부 출범과 위안화 약세 지속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통화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이날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3.1%, 5년 만기 LPR을 3.6%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1년 만기 LPR은 기업 대출과 가계 신용 대출의 기준 금리 역할을 하며, 5년 만기 LPR은 주택담보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된다.
이번 금리 동결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나온 결정이라 더욱 주목받는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 특히 미·중 무역 갈등과 관련된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중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이다.

위안화 약세 방어, 금리 인하 발목 잡아


중국은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 필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위안화 약세 압력 때문에 쉽사리 금리를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다. 금리를 인하하면 경기 부양 효과는 있겠지만, 자본 유출이 가속화돼 위안화 가치가 더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위안화 가치는 달러 대비 3% 이상 하락했다. 엄격하게 관리되는 역내 위안화 환율도 16개월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나티시스의 게리 응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수요를 촉진하기 위해 금리를 낮춰야 하지만, 위안화 가치 급락을 막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이 올해 안에 0.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미국의 금리 정책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인하 시점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부양, 부동산 시장 침체, 트럼프 정책...복잡한 변수들


중국 경제는 지난해 4분기 예상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였지만, 불안 요인도 상존한다. 소비 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 등이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해 7월과 10월 두 차례 금리를 인하했지만, 11월과 12월에는 동결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최근에는 외환 시장 안정을 강조하며 위안화 환율 방어에 주력하고 있다.

미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헬렌 차오 중화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인민은행의 단기적인 정책 방향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에 달려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펼칠 경우 중국은 금리 인하 등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펼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 낮아져...중국 정책 운신의 폭 좁아져


한편,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시카고 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현재 시장에서는 연준이 2025년에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면 중국이 금리를 인하할 여력은 더욱 줄어든다. 미·중 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자본 유출 압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중국은 경기 부양과 위안화 환율 방어, 그리고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진 모습이다. 중국이 어떤 정책 조합을 통해 이 난관을 헤쳐나갈지 주목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