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중국발 경제 위기, 2025년 글로벌 경제 '늪' 되나?

18조 달러 자산 증발·마이너스 생산자물가·4%대 성장률 추락...한국 경제 충격은?
일본형 장기침체 재현 우려, 30년 만기 국채수익률 일본보다 낮아져
중국 베이징의 중심업무지구(CBD), 아침 출퇴근 시간 사람들의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베이징의 중심업무지구(CBD), 아침 출퇴근 시간 사람들의 모습. 사진=로이터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이 부동산 시장 붕괴와 디플레이션 위험에 직면하며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불안 요인으로 부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일과 23일 특별 기획 기사에서 중국의 위기가 1990년대 일본의 장기침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을 경고했다.

중국 경제는 사상 최대 규모 부동산 거품 붕괴를 겪고 있다.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2021년 이후 18조 달러의 가계 자산이 사라졌으며,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미국의 손실을 웃도는 규모다. 2024년 11월 말 기준 중국의 빈집은 약 8000만 채로, 미국 전체 주택 재고의 절반에 해당한다.

디플레이션(물가의 지속 하락) 징후는 1990년대 초 일본의 상황과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중국의 3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1.93%로 일본(2.3%)보다 낮아졌으며, 생산자물가는 26개월 연속 하락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0.2%에 그쳤다. 이는 1991년 일본의 자산 버블 붕괴 이후 나타났던 디플레이션 전조와 동일한 패턴이다.

중국의 구조적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WSJ 보도에 따르면 정부, 가계, 기업의 총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300%를 넘어섰다. 특히 지방정부의 불투명한 투자회사를 통한 '숨겨진' 부채도 위험 요인이다. 노동 인구 역시 2020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중국 정부는 위기 타개를 위해 1.4조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MSCI 중국 지수는 2023년 16% 상승했으나, 이는 부양책 기대감에 따른 것으로 실물경제 회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산업구조 전환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제조 2025' 전략으로 AI, 신에너지차, 반도체 등 10대 핵심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중국의 글로벌 제조업 점유율은 2003년 10%에서 2023년 30%로 증가했고, 전 세계 AI 투자의 70%, 신에너지차 시장의 47.6%를 차지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2025~2029년)의 대중 견제는 중국의 구조 전환을 어렵게 만들 전망이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미국이 관세를 20%포인트 인상할 경우 중국의 GDP가 0.7%포인트 추가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의 성장률은 2024년 4.9%에서 2025년 4.5%로 떨어지고, 2025~2035년에는 연평균 3.5%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의 세계 최대 경제대국 도약도 불투명해졌다. 2019년까지만 해도 2030년경 미국 추월이 예상됐으나, 이제는 금세기 중반 이전 추월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중국발 충격은 중국이 최대 교역 상대국인 한국 경제에 직접적 위협이 될 수 있다. 대중 수출 의존도가 20% 내외를 오가는 한국은 중국의 경기 침체 영향이 불가피하다. 특히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주력 산업에서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이중고가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