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행안부 “국정자원 화재로 647개 시스템 중단”…우체국 금융 최우선 복구

김민재 차관 “항온항습기 복구 후 서버 재가동 예정”…27일 브리핑서 설명
이재용 원장 “서버 손상 여부 달라…체계적 복구 추진”
소방청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불꽃 발생”…정확한 원인 합동 조사 착수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오른쪽)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오른쪽)이 2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정부 서비스 장애 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행정안전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된 주요 정부 서비스 가운데 국민 생활과 직결된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를 우선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27일 브리핑에서 “현재 항온항습기를 우선 복구 중이며 이후 서버를 재가동해 시스템을 정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전원이 차단된 리튬이온 배터리 한 개에서 불이 나 발생했다. 불은 27일 오전 6시 30분께 진화됐지만, 현재 대전본원 업무시스템 647개가 멈춰 있는 상태다.

김 차관은 “화재로 직접 장애가 난 시스템은 약 70개지만 항온항습기 중단으로 내부가 과열돼 선제적으로 647개 시스템을 가동 중단했다”며 “연기가 빠지고 전산실 온도가 내려가면 항온항습기를 다시 가동해 일부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정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대국민 파급효과가 큰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를 최우선 복구 대상으로 정했다. 아울러 민원 지연으로 국민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세금 납부, 서류 제출 기한이 도래한 경우 정상화 이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배터리 화재 이후 냉각기가 멈추면서 항온항습기가 꺼졌고, 내부 온도가 높아져 서버를 전면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다”며 “큰 손상을 입지 않은 서버는 곧바로 가동할 수 있지만 일부는 복구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서버와 전기 설비가 같은 공간에 있어 4차례에 걸쳐 배터리 장비를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었으며, 이번 화재는 두 번째 이전 완료 직후 발생했다. 소방청은 “작업자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했다”는 신고 내용을 토대로 국과수, 경찰과 합동으로 정확한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

정부 서비스가 완전히 정상화되기 전까지는 각 기관 안내에 따라 대체사이트 접속이나 오프라인 창구를 이용해야 하며, 구체적인 장애 현황과 대체 이용처는 포털사이트 네이버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