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기자수첩] "‘청라대교 단독 명칭 변경 요구’는 지역 이기주의"

인천 서구, '청라하늘대교’ 결정 반발 "이의제기할 것"
市 지명위 "행정력 낭비, 주민 갈등 야기 변경 어렵다"
제3 연륙교 청라하늘대교 공사 전경.  사진=인천 경제청이미지 확대보기
제3 연륙교 청라하늘대교 공사 전경. 사진=인천 경제청
인천 서구는 지난 30일 시 지명위원회가 제3연륙교 명칭으로 ‘청라하늘대교’ 결정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며, 이의제기를 통해 ‘청라대교’가 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서구가 요구하는 ‘청라대교’ 단독 명칭은 중구민과 향후 신설되는 영종구 주민들에게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행위로 지역 이기주의라는 지적이 많다.

강범석 현 서구청장은 20년이 넘도록 서구에서 당선과 낙선을 반복한 정치인으로 이번 명칭 이의제기에 대한 반발 기류로 포착됐는데 '표심용 퍼포먼스'이라는 의구심마저 낳고 있다.

앞서 서구는 시 지명위원회에서 청라대교 명칭에 대한 타당성을 시종일관 강조했으나, 정작 위원회에서는 중립적인 명칭에 무게를 두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렸다는 분석이 여론의 주류다.
하지만 정작 서구가 되레 ‘청라대교’를 제외되는 결과를 자초했다는 지적도 많다. 서구는 “인천대교, 영종대교에 이어 인천공항과 내륙을 잇는 세 번째 다리인 제3연륙교 명칭은 명확성, 상징성, 이용자 편의성 등 고려할 때 당연히 ‘청라대교’로 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늘’이라는 보통 명사가 교량 이름에 들어간 것에 대한 부적절성도 거론된다. 추상적인 단어인 하늘을 결합함으로써 교량 이름의 고유성과 명확성을 훼손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두 단어가 결합되면서 여러 약칭으로 불릴 수 있는 등 이용자들의 혼란 가능성도 제기했지만, 이 같은 주장은 ‘청라대교’란 명칭보다 주민 갈등을 미리 방지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정황이 보인다.

결국, 서구의 ‘청라대교’ 명칭만을 고집하는 주장은 "우리 지역만 부각하면 된다"는 이기주의의 단면으로 인천시 지명위가 이제와서 명칭을 전격 변경해 줄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중론이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