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인천 특사경, ‘학교급식 농‧축‧수산물 납품업체’ 기획 수사로 불법 단속

인천시 특사경 식품업체 단속 모습. 사진=인천시이미지 확대보기
인천시 특사경 식품업체 단속 모습.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는 지난달 10일부터 11월 7일까지 약 4주간 관내 학교급식 농‧축‧수산물 납품업체에 대해 원산지 표시 위반 및 축산물 영업자 준수사항 위반 등 영업장 불법행위를 단속했다고 12일 밝혔다.
인천시 특사경은 “이번 단속은 신학기 등 집중 단속 시기 외 관리 소홀 가능성이 있는 시기를 노려 불시에 진행했는데, 이는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급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시가 됐다”고 말했다.

시는 축산물 가공‧유통‧판매업소 30개소와 김치‧참기름‧수산물 가공 및 유통업소 22개소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원산지 표시 위반 △축산물 보관방법 위반 등 총 3개 업소의 불법행위를 적발했는데 더 강화할 방침이라고 한다.

주요 적발 사례로는 냉동육을 냉장창고에 보관한 식육포장처리업소, 김치의 소금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은 김치 제조업소, 한우로 둔갑된 호주산 소고기를 판매한 재래시장 내 식육판매업소 등이 있다.
또한, 인천시는 관내 축산물 유통의 원산지 불법 유통을 확인하기 위해 7개 제조‧판매업소에서 돼지고기 28점을 수거해 원산지 판별 검사를 진행했으며, 모든 돼지고기가 국내산임을 확인했다.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르면, 축산물 기준 및 규격을 위반할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또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김치의 소금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으면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고, 수입육을 한우로 거짓 표시해 판매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인천시 특별사법경찰 관계자는 “학교급식은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인 만큼 앞으로도 농축산물의 원산지, 위생관리 및 품질을 철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